자유게시판

조회 수 1747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백북스 가입 후 일주일이 지났습니다.

인터넷 시작 홈페이지를 백북스로 하고서는,

하나씩 하나씩 내용을 보다가

점점 빠져듭니다.

 

내용의 전문성 뿐 아니라, 열정이 글과 제목, 사진, 자료들에서

팍!!!팍!!!!!! 느껴집니다.

 

그저께 서울모임에서 열강을 해 주신 장회익 교수님의 책 '공부 도둑'이란 제목처럼

마치 제가 도둑인양 야금야금 홈페이지를 봅니다.

 

아마, 여기는 '배움 공동체'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배움을 나누는 공동체이기도 한 것 같구요.

 

음.. 저는 작업치료사라고 해서 재활분야의 직업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아버지의 교통사고 이후 성인재활에 주로 관심을 갖고 공부하다가

결과적으로는 학교 다닐 때 가장 성적이 좋지 않았던 '아동'분야에서

어찌어찌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만나오는 아이들이 뇌성마비, 자폐성 장애 아이들이 좀 많았었는데,

요즘에는 일반적인 인구에서 소위 '적응'이 어려운 아이들을 점점 더 많이 만나게 됩니다. 그냥 진단명으로 구분짓기에는 한 명 한 명, 같은 경우는 없고, 자라고 있는 환경들이 다 다르니까 결국은 한 명, 한 명을 개별적으로 만나는 것이 최선이고, 그러다 보니 혼자 한 명을 만나기에는 벅차고, 그러다 보니, 특수교사, 언어치료사, 물리치료사, 일반 교사와 함께 만나는 일들이 점점 많아집니다.

 

이렇게 아이들을 만나는 과정에서 귀결되는 결정적인 공부의 기초는

'신경학'이 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만나는 아이들 중에는 올리버 색스의 책이나 템플 그랜딘의 책에 나오는 이야기가 공감이 되는 경우가 참 많아요.

 

그저께 장회익 교수님의 강연의 초반에,

3차원의 개념은 통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득적'으로 얻게 되는 것이라 하셨는데

 

발달과정에 있는 아이들은 그 개념을 획득하기 위해, 치열하게 신경을 발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아이는 중력의 느낌이 자득적으로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3차원의 공간을 과학책에서 공부해서 이해하는 아이도 있어요. 머리가 있는 쪽이 위라고 의식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자세를 바꾸면 위아래가 헷갈리는 데, 자신이 왜 그렇게 헷갈리는지도 공부를 해서 알게 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아하!! 그렇구나..

3차원의 개념을 공부해서 배우는 사람은, 4차원 이상의 개념도 공부해서 배우는 것이 그리 이상하거나 낯설지는 않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죠. 그래서 아인슈타인도 그런 생각이 가능했으려나?? 싶기도 하고..

 

그렇게 따지고 들어가니, 참.... 제가 하는 일이나 치료라는 행위가 어떤 경우에는 간섭이 될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의 비약을 하게 됩니다.

 

미천한 지식이지만, 신경학을 통해 이해되는 아이들의 성향과 발달은

어른이 조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자연과 함께(중력부터 시작해서) 조화를 이뤄야 하는 것이고, 모두 절대 같을 수 없다는 것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생각을 하고 지내던 차에,

백북스 클럽의 홈페이지를 통해 읽게 되고, 생각하는 내용들은 굉장히 큰 도전과 자극이 되며, 다시금 열심히 배워야겠다는 열정을 불러일으킵니다...

 

시간 날 때 마다 들여다 보는 요 며칠은 좀 중독 같았는데,

보다 몰입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입니다.
  • ?
    김주현 2009.02.02 01:44
    더 큰 것을 얻으셨네요. 그 것이 느껴집니다. 응원합니다!
  • ?
    김영이 2009.02.02 01:44
    와 정말 멋진 글입니다. ^^ 백북스는 참 매력있는 곳이지요. 함께 계속해서 공부합시다~@.@
  • ?
    전주호 2009.02.02 01:44
    지석연님 반갑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백북스는 새롭고 멋진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스스로 모여 공부하고, 그것을 서로 나누는 중에, 자신이 세상을 보는 눈과 다른 사람의 말을 듣는 귀가 한층 부드러워지고 자유스러워짐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백북스는 열려있기 때문입니다.
  • ?
    서지미 2009.02.02 01:44
    정말 멋진 글입니다.
    책속의 이야기가 현장에서 펼쳐지는 군요.
    앞으로도 많은 발전 있기를 기원합니다.
    책을 통해
    하나하나 이해해 가는 과정.
    그 과정이 새로움으로 다가옵니다.
  • ?
    이정모 2009.02.02 01:44
    이대 방교수님의 연락을 받아 오늘에서야 알게된 분을 여기서 만나뵐 줄이야 ! KIST 프로젝건 좋은 도움주시기 부탁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8 공지 클럽소개?? 구용본 2002.12.06 2997
227 공지 11.26 독서크럽 모임에 참석하고서 현영석 2002.12.06 3086
226 공지 12.10일 독서모임 책 : 이종원 저 "최신EU(유럽연합)론" 현영석 2002.12.06 3190
225 공지 [링크] 열한번째와 열두번째 링크 최현기 2002.12.01 3136
224 공지 [taz ] 링크. 천강협 2002.12.01 2901
223 공지 박선규 회원의 병문안을 다녀와서... 송윤호 2002.12.01 2897
222 공지 다음에 읽을 책은 무엇입니까? 유수연 2002.12.01 2925
221 공지 11.26독서모임 책 안내 " 현대과학과 리더쉽" 현영석 2002.12.01 3387
220 공지 밖으로 나가 가을을 만나 보세요 윤석련 2002.11.28 2913
219 공지 책 다 읽었습니다.. 구용본 2002.11.28 2931
218 공지 [알림] 박선규 회원 입원 이중연 2002.11.28 2865
217 공지 [알림] 박선규 회원 입원 송윤호 2002.11.28 2915
216 공지 CBS 책소개 11월13일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현영석 2002.11.28 2925
215 공지 내일 모임 카풀합니다. 한남대 -> 아고라 송윤호 2002.11.28 3033
214 공지 조근희과장님 힘내십쇼 김요셉 2002.11.28 3199
213 공지 I am Sam.....^^ 유수연 2002.11.22 2959
212 공지 CBS책소개 11월6일 "영혼이 있는 승부" 현영석 2002.11.22 2957
211 공지 엄마 아빠와 함께 하는 과학문화재 탐험을 다녀왔습니다 윤석련 2002.11.22 2907
210 공지 Linked.. 구용본 2002.11.22 3000
209 공지 이해를 합니다만 . 윤석련 2002.11.22 28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