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828 추천 수 0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월 1일 13차 천문우주+뇌과학 박문호박사님 강연 모습)

 


 


 


 


 


 


 


 


 

 

클릭! →13차 천문우주+뇌과학 공부내용 자세히 보러가기 (아칸소스테가)

      

 

 


 


 

 


 


 


 


 


 

(현영석 교수님 3월 22일 백북스+수유너머 워크샵 강연 모습)

 


 

우리 2009년에도 함께해요. ^-^

마지막으로 여러분~!


 

 

 

 

 

P.S.

 

 

※ 다음은 조선일보 2009년 신춘문예 소설부문 당선작 <아칸소스테가>의 일부입니다.


 

소설 전문 보러 가기 → 200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소설부문 당선작 <아칸소스테가>
Prev 중용철학강의 중용철학강의 2005.01.07by 문경수 중앙일보 신문보고 가입하시는 새내기님들께!! Next 중앙일보 신문보고 가입하시는 새내기님들께!! 2009.02.05by 김영이
  • ?
    오창석 2009.01.02 04:27
    2009년 1월1일부터 고생하시네요. ^_^
    새해부터 좋은 사람과 함께 하셔야 하는데, 백북스를 위해 고생하시는 보미씨 멋있네요.
    끝없는 열정을 가지고 백북스회원들에게 알려주시려는 박문호 박사님도 멋있으시고요.
    중요한것을 중요하다고 아는것이 중요하다...의미있네요.
    아! 그리고 '기업 = 생명체'라는말도 기업인으로써 정말 의미있게 받아들여지네요.
    세계적인 금융위기 속에서 모든 기업들이 힘든 이 시기에 생명체에서 이 위기를 극복 할 수 있는 그런 지혜로운 방법을 찾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09년 중요한것 중요하다고 알아가는 제가 되어야겠네요.^_^
    백북스회원님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선완규 2009.01.02 04:27
    1월 1일자 신춘문예를 보기 위해 몇 개의 신문을 샀는데, 아칸소스테가라는 제목을 보고 깜짝 놀랐어요. 신선한 놀라움이었습니다. 이렇게 놀라는 것도 분명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에게 분별지가 좀 생기는 것 같아요. 글에 있는 용어나 개념을 보면서 여기저기서 귀동냥을 통해 들은 개념들이 등장하면 긴장하고, 흥분하는 거 말이에요. 그래서 공부는 무엇을 향한 열망이나 열정을 품게 하는가 봅니다.
  • ?
    이정원 2009.01.02 04:27
    저도 오늘 아침에 신문을 보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신춘문예 당선작 제목이 <아칸소스테가> !!
    읽어보기도 전에 영주 씨를 불러 '이거봐, 이거봐, 소설 제목이 아칸소스테가야!'
    ***
    "아칸소스테가라우"
    어디서 나타났는지 추레한 노인이 옆에 서 있었다.
    "아, 네"
    노인의 말을 건성으로 들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화석 속의 주인공은 인간의 선조라네. 우리들이 원래 아란다스피스라는 물고기였다는 걸 알고 있나?"
    "물고기요?"
    "자네가 익히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먼 시원을 말하는 거야. 사지가 달린 물고기 이전에는 아주 작은 미생물이었다지."
  • ?
    이정원 2009.01.02 04:27
    2009년은 다윈 탄생 200주년입니다.
    세계 각국에서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데 놀라운 것은
    바티칸 교황청도 다윈 탄생 200주년 행사를 준비 중이라는 것입니다.
    또 영국 성공회는 다윈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지난 9월 14일
    다윈에게 사과 입장을 표명했다 하는데 내용은 이렇습니다.
    "탄생 200주년을 맞아 영국 성공회는 당신을 오해한 것과 당신에 대해 첫 대응을 잘못했고,
    아직도 다른 이들이 당신을 오해하도록 부추긴 것에 대해 사과한다."
  • ?
    이정원 2009.01.02 04:27
    <왜 다윈이 중요한가?>의 저자 마이클 셔머는 우리 시대를 주저 없이 '다윈의 시대'라고 규정한다. 그는 근대를 대표하는 세 석학, 다윈, 마르큿, 프로이트 중에서 다윈만이 21세기에도 여전히 의미를 지니는 이유를 한 마디로 설명한다. 그의 이론이 옳았기 때문이라고.
    - 최재천, 다윈 탄생 200주년 기념 '다윈이 돌아왔다' [1] (조선일보 2009-01-01)
  • ?
    임성혁 2009.01.02 04:27
    백북스 가족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부천에서 임성혁 올림.
  • ?
    전주호 2009.01.02 04:27
    새해 첫 날부터 조상이야기를 공부하게 만들어 줘서 감사합니다.
    - - - 파충류 - 아칸소스테가(양서류) - 페어 - 실러캔스 - 조기어류 - - - - 피카이아 (척추, 척수 동물의 가장 먼 조상)까지 다시 정리해 봅니다.
    그리고 백북스의 공부가 시대를 예측하고 선도하는 징후를 보게되어 무척 신이 납니다.
    기쁜 소식을 전하려고 수고 해주는 윤 보미 선생님, 감사합니다. ^_^
  • ?
    현영석 2009.01.02 04:27
    1. 위 이정원씨 글 중에서, 영국 성공회는 다윈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지난 9월 14일 다윈에게 사과 입장을 표명했다. "탄생 200주년을 맞아 영국 성공회는 당신을 오해한 것과 당신에 대해 첫 대응을 잘못했고, [아직도 다른 이들이 당신을 오해하도록 부추긴] 것에 대해 사과한다."
    2. 소위 기독교 근본주의자들도 열린 마음을 가지고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접근이 필요. 균형독서, 과학독서가 그 좋은 해답 중의 하나 일 것.
    3. 부시 공화당 정권의 본질과 행태 및 행로.
    1) 극우 네오콘 -> 이라크 침공
    2) 신자유주의--> 정부규제 방기 -->미국 금융가 탐욕, 도적적 해이 --> subprime 주택금융 사태 -->미국 금융위기-->세계 경제위기 확산.
    3) 기독교 근본주의 -->성서문자주의/진화론 공교육 불허 또는 제한, 오순절 신앙, 이슬람인들 구원(?)
    4. 미국 오바마 대통령 당선의 의미.
    1) 정치적 : 극우 네오콘 몰락. 2) 경제적: 신자유주의 몰락 3) 종교적: 기독교 근본주의 몰락.

  • ?
    이지홍 2009.01.02 04:27
    저도 신문을 넘기다가 깜짝 놀랐었어요. 소설 제목이 <아칸소스테가>라니..
    백북스에서 보고 듣지 않았더라면 전혀 모르고 지나갔었겠지요.
    강의 들으면서 <아칸소스테가>라고 발음해보고 넘어가지 않았더라면 기억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
  • ?
    김영이 2009.01.02 04:27
    아칸소스테가... ^^ 중요한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아는 것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 ?
    임석희 2009.01.02 04:27
    일요일 아침, 동물농장에서 "와와어"를 보았습니다. 손발이 달린 물고기로 소개가 되었지요. 중국에 있다는데... 생긴 모습이 아칸소스테가와 너무 비슷해요..위의 스케치가 상상도 혹은 복원도 이겠죠? 그런데.. 정말 비슷하다라는... 흠.. 왠지 상관관계가 있을 것 같기도 하고...(여기서도 다시, 믿음의 달인은 인과론을 찾아내려고 애 쓰는군요, 하하하)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68 공지 지식네트워크 선포식 참석 후에.... 13 송윤호 2007.10.18 1735
2567 공지 지문은 알고 있다 1 이중훈 2009.03.18 1988
2566 공지 지난주 박문호 박사님 강의 뒤늦은 청강 후기 ^^; 2 김영상 2008.03.02 1194
2565 공지 지난주 금요일 강연을 다녀와서 5 이영도 2008.11.18 1545
2564 공지 지나 사피엔스(시간의 흐름을 인식한 인류의 이야기) 박문호 2005.02.28 2098
2563 공지 지금부터는 "공공 도서관" 이야기입니다 이동선 2002.07.10 3763
2562 공지 지금까지는..., 다음으로... 이동선 2002.07.08 3750
2561 공지 지금 하십시요 윤석련 2003.03.02 2320
2560 공지 지구! 5 양경화 2007.05.10 1557
2559 공지 지구 모습입니다. 1 이중훈 2008.12.01 1592
2558 공지 지갑의 인연으로 여길 방문하게 됐어염.^^ 관리자 2002.07.14 3773
2557 공지 지.호.락의 학문과 학술원의 길 6 김주현 2007.04.26 2046
2556 공지 즐거운 설 보내시길 윤석련 2003.01.30 2651
2555 공지 중청 대피소 7 문경수 2007.05.17 2451
2554 공지 중용철학강의 문경수 2005.01.07 2069
» 공지 중요한 것을 중요하다고 아는 것이 참으로 중요하다. 11 윤보미 2009.01.02 1828
2552 공지 중앙일보 신문보고 가입하시는 새내기님들께!! 9 김영이 2009.02.05 2037
2551 공지 중앙일보 기사 보고 왔습니다. 3 김경근 2009.02.12 1658
2550 공지 중성미자의 질량 1 file 육형빈 2009.01.15 1868
2549 공지 중성미자 1 강신철 2008.12.15 16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