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58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것도 지난 서울 독서 토론 뒷풀이 자리에서 나왔던 이야기입니다. 전승철 회원님께서 이종필 회원님께 "수학 좀 배우고 싶다"라는 이야기를 하셨고, "미적분부터 공부해야 한다", "혼자 하기 힘들다", "그럼 같이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까?" 이런 스토리로 이야기가 전개되었습니다 (물론 상당한 생략과 왜곡을 거친 요약입니다만).


 


이런저런 이야기 사이로


 


"과학 무서워 하는 사람들이 와서는 힘에 겨워하거나 버거워할 수 있겠다"


 


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문제는 "더 많은 과학, 더 엄밀한 과학"과 부딪쳐 해결하는 게 정공법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만, 그래도 말랑말랑하고 심오하고 생각해볼 거리를 많이 던져주고, 읽고 나서는 자랑도 할 수 있는 인문사회 고전들을 읽어보는 것도 필요할 듯 싶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 욕구와 필요가 존재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그냥 이렇게 운을 띄워 보는 거에요.


 


어쨌거나 이 모임의 목적은 이런 겁니다.


 


"최소한의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평소에 갖고 있던 부채감(?) 혹은 민망함을 극복하고 이제 더 안 읽어도 되겠다는 안도감을 느끼자."


 


혹은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과학 책을 더 많이 보고 싶어지고 더 잘 읽을 수 있게 되자."


 


라는 것이죠.


 


 


수준과 범위는


 


"대략 대입 논술에서 출제되었거나 출제되는 수준과 범위에 해당하는 인문사회 고전들의 <원전>들"


 


정도면 무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잘 아는 게 딱 그 수준이어서 더 뭘 봐야 좋을지 모르겠거든요. 국문과, 철학과, 법학과를 기웃거리며 10년 간 논술 강사를 하면서 주워들은 수준이므로 매우 천박하고 얄팍합니다. 다른 분들의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제안과 도움이 필요합니다.


 


음, 그런데 이런 모임이 필요하긴 한 건가요? ㄷㄷㄷ 원래 고전이란 마크 트웨인의 말처럼 <누구나 이야기하지만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이니까 말이죠.


 

=============================

 

고전들이라고 다 어렵거나 힘든 건 아닙니다.

 

물론 텍스트를 잘근잘근 씹어서 완전히 소화시킨다는 건 어떤 텍스트를 붙잡아도 어려운 일입니다 - (과장도 있겠지만) 아도르노와 하버마스가 헤겔 세미나를 할 때 한 학기 동안 책을 네 페이지 읽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철학 고전 텍스트를 "씹어 먹어" 본 사람은 이게 이해가 갑니다. 문제는 그렇게 읽어도 여전히 풀리지 않고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거죠 ^^;;

 

그러나 모든 사람이 모든 책을 그렇게 읽어야 하는 건 아니니까요. (적절한 보조와 분담이 있으면) 소수의 저자와 책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인문사회 고전들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책들입니다. 그렇게 생각하고 읽으면 쉬워요 ^^;

 
  • ?
    이병록 2008.10.03 02:20
    세계종교사상사 같으면 다시 한 번 공부해 보고 싶은데요?. 이 모임도 서울 소모임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입니다.
  • ?
    임석희 2008.10.03 02:20
    언젠가는 시공을 넘나들수 있겠죠?
    몸은 고흥에, 마음은 대전에, 머리는 서울에...
    어떻하면.. 좋아요... 이것두 끌리는데... 헐!!!
  • ?
    전승철 2008.10.03 02:20
    김원기 회원님.. 드디어 깃발을 드셨군요.
    그날 뒷풀이때 밤을 새워 얘기하던 시간이 지금도 여운처럼 남아있습니다.
    평범하지 않은 두분과 함께 정말 재미있는 술자리였고 두분의 내공때문에 저까지 업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참으로 오랫만에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났다는 느낌입니다.
    인문학의 진수를 나눟어주신다니.. 저도 수학공부 하면서 틈틈이 엿보겠습니다.
  • ?
    서지미 2008.10.03 02:20
    언젠가는 시공을 넘나들수 있겠죠?
    몸은 대전에, 마음도 대전에, 하지만 머리는 서울에...
    어떻하면.. 좋아요... 이것두 끌리는데... 헐!!!(투)
  • ?
    전재영 2008.10.03 02:20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과학 책을 더 많이 보고 싶어지고 더 잘 읽을 수 있게 되자"
    이거 너무 재밌는 말이네요^^ 아우라가 보입니다.
  • ?
    강혜정 2008.10.03 02:20
    드디어 인문학 모임이 ㅠ.ㅠ
  • ?
    유지혜 2008.10.03 02:20
    인문학 모임.. 하게되면 꼭 참석하고 싶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88 공지 2018년 생명윤리관련 정책연구과제 자유공모 안내(~4/6) file nibp 2018.03.27 77
2887 공지 긴급 공지 - 서울백북스 7월 강연 내용 변경 박용태 2018.07.17 85
2886 공지 마음에서 마음으로 가는 길 부쓰 2018.10.26 109
2885 공지 [안내] 고양시 인권교육활동가 역량강화교육 박근덕 2017.08.30 120
2884 공지 [당신 옆에 이런 사람이 있습니까?] 부쓰 2018.10.31 130
2883 공지 서울 백북스 강연장소는 앞으로 <한국 인성개발원>에서 진행합니다. 박용태 2017.01.04 136
2882 공지 대전 보건학 독서모임 앤드 신영전교수 초청특강 안내 file 어당 2017.08.12 150
2881 공지 어느 공돌이의 별풍선 file 부쓰 2018.11.08 183
2880 공지 11월 25일 (금요일) 서울 백북스 김희준 교수님 강연 안내 박용태 2016.11.23 199
2879 공지 좋은글 file 부쓰 2018.11.06 207
2878 공지 무개념 김여사 file 부쓰 2018.11.05 215
2877 공지 9월 30일 <인간 존재의 의미> 강연 안내 박용태 2016.09.29 247
2876 공지 7월 22일 김상욱 교수의 과학 공부 강연 안내 박용태 2016.07.21 263
2875 공지 두근두근 청년인문학 독서토론해요! file 양갱 2018.12.14 268
2874 공지 이강영 교수님 <불멸의 원자> 강연 안내 1 박용태 2016.08.18 271
2873 공지 [긴급공지] 대전 백북스 8/14 모임 취소 관리자 2018.08.03 294
2872 공지 [번개 공지] 같이 가실 분~?? 10/31 저녁 7시, 대전 예술가의 집 1 file 임석희 2019.10.28 379
2871 공지 한국정신과학학회 7월 월례회 꿈꾸는다이아 2016.07.09 534
2870 공지 <수학의 힘> 장우석 선생님 강연 안내 박용태 2016.10.26 766
2869 공지 안녕하십니까? 가입인사 드립니다. 3 김홍용 2008.03.25 11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