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656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을 읽지 않을 권리’도 생각하게끔

박영선/어린이도서연구회 회원


나는 이렇게 읽었다/소설처럼

우리는 외부의 요구에 의해 책을 읽기도 하고 자발적 동기에서 책을 읽기도 한다. 이 두 경우 중에서 어떤 경로로 읽은 책이 한 개인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지에 대해서는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문제는 우리 사회가 책읽기를 권하는 수준을 넘어서 강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 대상이 주로 학생들이라는 점이 더 큰 문제다.

어른들은 아이들이 책을 읽고 반드시 어떤 결과물을 내놓기를 원한다. 그것은 꼭 거창한 독후감이 아니더라도 간단한 느낌이나 하다못해 주인공 이름이 뭔지는 알아야겠다는 심산이다. 아이가 이런 질문들에 대답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해 하면 도대체 뭘 읽었느냐 하면서 핀잔을 준다. 아이는 책을 그냥 재미있게 읽었을 뿐인데 어른들이 책에 대해서 꼬치꼬치 캐물으니 부담스러울 뿐이다. 그러면서 점점 책에서 멀어지게 된다.

저자는 책을 읽는 행위는 무상성 그 자체라고 말한다. 아이들이 책을 그저 재미있게 읽으면 됐지 책을 읽은 후에 어떤 결과를 바라는 것은 ‘서푼어치의 지식을 꿔주고 이자를 요구하는 격’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아이들마다 개성이 있듯 책읽기에도 체득해가는 자신만의 리듬이 있는데 어른들이 그 ‘때’를 기다리지 못하고 천편일률적인 잣대로 아이들을 조급하게 몰아가고 있다고 한다.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이가 글을 깨친 후에라도 책을 읽어주는 일이 최고라고 말한다. 저자는 대학 강단에서 책을 읽어준 시인 조르주 페로스의 경우를 소개하고 있다. 그는 강의 시간에 학생들에게 책을 읽어주었는데 학생들이 처음에는 심드렁해하다가 나중에는 도서관에서 서로 책을 빌려 읽으며 책읽기에 열중하게 됐다고 한다. 학생들이 그 시인의 수업에 호응할 수 있었던 건, 그 시인이 학생들에게 책읽어주는 행위의 대가로 아무것도 바라지 않았기 때문이란다. 그의 제자들은 그가 문학을 조각조각 분석해가면 인색하게 떼어주기보다는 차고 넘치도록 후하게 나누어 주었다고 들려준다.

이 책 결미에서는 침해할 수 없는 독자의 권리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그 첫 번째 항이 ‘책을 읽지 않을 권리’다. 독서가 사람을 인간답게 만든다는 생각은 대체로 옳지만 그렇다고 해서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은 볼 것도 없이 야만인이 될 소지가 있다는 생각은 위험한 생각이다. 그 외에도 건너뛰며 읽을 권리, 책을 끝까지 읽지 않을 권리, 아무 책이나 읽을 권리, 읽고 나서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권리들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다. 이 모든 항에 권리라는 말이 따라오는 걸 보니 책을 읽는 일이나 읽지 않는 일이나 모두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 즉, 인권과 관련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에 교인적자원부에서 독서인증제나 독서이력철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해서 학부모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런 제도가 책을 읽지 않은 아이에게는 혹시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많은 학부모들이 기대를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제도는 아이들에게는 학원을 하나 더 다녀야 되는 짐이 되고 학부모들에게는 사교육비 부담을 증가시키는 현실적 문제를 불러온다. 그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이 제도가 책읽기를 한 후 시험을 보게 하고 그 결과를 점수로 환산해서 이력으로 남기기 때문에 이 책의 저자 다니엘 페나크가 말한 인권과 맞서는 제도라는 데 있다.

아이들이 책을 읽고 정서가 풍부한 아이로 자라기를 기대한다면 우리 어른들은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면 된다. 책을 매개로 하여 교육하려는 것은 오히려 교육을 그르치는 일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교육을 염두 하지 않았을 때 우리는 훌륭한 교사(학부모)가 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소설은 ‘소설처럼’ 읽혀야 한다.

박영선/어린이도서연구회 회원

한겨레신문 2006,9,1
  • ?
    윤성중 2008.08.29 05:29
    “정말 미안합니다. 마음껏 뛰어 놀고, 동무들과 사이 좋게 얘기하고, 만화영화도 보고 싶을 텐데, 감히 책을 읽으라고 하기가 미안해진답니다. 그러니 아주 조금씩 꼭 읽고 싶을 때만 읽으세요.” ..... 개인적으로 존경하는 권정생 선생님 책 머리말에 쓰여진 글입니다.
  • ?
    이병록 2008.08.29 05:29
    종교를 갖지 않을 권리가 가끔 무시되는 현상이 있는데, 책 읽기도 마찬가지일 것 같습니다. 읽는 것이 고역인 사람이 책을 읽는 다는 것은 읽지 않는 것 보다는 낫지만, 강요할 일은 아닙니다. 사실 저도 읽는 것은 즐겁지만 쓰는 것은 별로 즐겁지 않고 부담이 많이 됩니다. 주변에서 읽지만 말고 쓰라고 할 때는 특히 그렇습니다.
  • ?
    김경희 2008.08.29 05:29
    책이란게 밥이랑 같아서, 그때 그때 먹고 싶은 게 따로 있듯이, 그때 그때 읽고 싶은게 따로 있잖아요. 그렇게 필요한데로 읽어야, 온전히 자기 것이 되는 법인데요. 독서인증제 도서목록을 따라가다보면, 억지로 읽어야 되는 책들이 생기니까요. 책을 즐기는데 보탬이 안되죠. 긴안목으로는 독서인증제 열심히 챙긴 아이가 도리어 손해볼거 같아요.
    안그래도 독서인증제때문에 담임선생님에게 못할거 같다고 말씀드리려던 차였는데요.
    어떻게 말씀드려야 되나... ;;;
  • ?
    양승찬 2008.08.29 05:29
    동감하는 글입니다. 세상 만사가 그런데 말이죠. 정작 자신이 즐기며 할 때가 제일 효과가 좋은 것이 너무도 뻔한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 공지 100권독서크럽 8월15일 야외모임 안내 관리자 2002.07.12 4115
67 공지 이영은,이지희,유수연,박선규 회원님은 제차에 동승하세요..^^ 송윤호 2002.07.05 4117
66 공지 한남대->아고라 이동 차편 현영석 2002.07.11 4128
65 공지 훌륭한 독서법 이중연 2002.08.22 4136
64 공지 [100퍼센트 인생경영]을 읽고.. 김요셉 2002.07.05 4150
63 공지 [공지] 1차 출판기획회의 : 결정된 사항 이정원 2008.02.01 4155
62 공지 모임 생중계^^(2부) 이중연 2002.07.06 4171
61 공지 홈페이지 구축 진행사항 현영석 2002.07.05 4183
60 공지 금요일에 과학터치, 부산역.대전역으로 확대 시행 5 송나리 2007.05.11 4192
59 공지 "요양 4개월만에 복귀한 안철수연구소의 안철수 사장" 관리자 2002.07.06 4222
58 공지 우리 (토론을 하고 나서) 조근희 2002.07.04 4234
57 공지 생명을 잉태하는 식장산 조근희 2002.07.02 4237
56 공지 저기요~ 주윤성 2002.07.04 4237
55 공지 방정환 선생님의 작품과 선생님에 대한 책 읽기 이동선 2002.07.07 4269
54 공지 '세계가놀란히딩크의 힘' 읽지않은분들 'CEO히딩크'를 읽으세요 김요셉 2002.07.04 4350
53 공지 대덕벤쳐 아고라 카페 위치/약도 올려주세요 현영석 2002.07.04 4419
52 공지 식장산으로 가는 까닭 조근희 2002.07.02 4435
51 공지 *^^*오랜만에 들어오네요~!! 유수연 2002.07.02 4450
50 공지 50회 초청 노마디즘 이진경 박사 프로필입니다.. 1 송윤호 2004.07.16 4455
49 공지 "현대과학과 리더십" 참고문헌 고원용 2002.12.10 44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