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740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질적인 방식으로 현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의지를 적어 내려가다가도 지워버린다. 그게 어리석은 일이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다시 의지를 썼다가 지우고 썼다 지우고를 반복한다.


결국은 그 의지는 평균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고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믿어버리게 된다.


 


당신 자신이 물 위를 걸을 수 있는 존재라고 인정한다면 물 위를 걸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돌멩이에 힘을 주어 언덕으로 굴리면 나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만약 내가 이런 질문을 한다면 당사자는 선뜻 대답하기가 곤란할 것 이다.


그리고 나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가능합니다

 

당신은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당신은 일종의 긍정적인 사고라고 생각 할 것이다. 여기서 긍정적인 사고는 좋은 개념이지만 그것은 긍정적인 사고의 얇은 막일 것이다. 그리고 그 막은 부정적인 생각을 둘러싸고 있을 것이다. 긍정적인 사고는 실제로 긍정적인 사고가 아니라 부정적인 사고의 위장 품인 것이다.

그리고 결국에는 같은 현실에 갇혀버리게 된다.

 

저건 가능하지 않아!! 단지 상상 속 에서만 가능한 일이야

 

저 질문은 자신에게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되고 실제 현실 또한 바꿀 수 없게 된다.

박성일 원장님께서 이런 부분을 지적하신 것이다. 자신의 안경을 만지작 하시면서 말씀하셨다.

 

이 안경이 내 눈이고 이 옷은 내 몸이야 그리고 인간은 다 사이보그야

 

단지 관점만 달라졌을 뿐 현실로 돌아오면 결국 안경이고 옷이고 인간인 것이지만 아차차!! 이것은 내 사고 관의 문제였다.

고전적인 사고 관에서는 어떤 것도 바꿀 수가 없었다. 왜냐하면 나는 현실에서 어떤 역할도 맡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실은 이미 존재하고 나름대로 움직이는 물질적인 존재이다. 결정적인 법칙에 의해서 말이다. 그리고 수학은 주어진 환경에서 사물의 움직이는 것을 결정한다. 경험자인 나는 어떠한 역할도 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새로운 관점에 따르면 수학이 어떤 것을 알려줄 수도 있고 이러한 움직임들이 취하는 여러 가능성을 알려 줄 수도 있지만 내가 나의 의식 안에서 일어나는 실제의 경험은 알려 줄 수 없다. 자신이 그 경험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래서 글자 그대로 내가 자신의 현실을 창조하는 것이다. 행위의 주체로서 말이다.

얼마 전 뇌에 괸한 다큐멘터리를 보았는데 생각을 일으킬때의 뇌는 벼락치는 풍경같았다. 시냅시스의 틈은 번개와 그것을 받아들이는 지구와 비유할수 있다.번개가 치기전의 검은 구름이 하늘에서 끓기 시작하고 전기적인 자극들이 그 속을 통과 한다. 전기적인 섬광의 선을 따라 바닥을 치고 일관된 생각을 일으킬때 뇌는 천둥치는 폭풍우와 같았다

생각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 뇌 호르몬 속에 사람들이 보는 것은 뇌의 각부분에서 일어나는 맹렬한 폭풍이었다. 몸속에 지도화 되어있는 이러한 것들에 사람들은 반응해야 하고 그것들은 홀로그램 이미지이며 분노, 살인, 증오, 동정이나 사랑으로 나타났다. 모든 감정은 입체영상으로 굳어진 화학물질임을 알게 되었다. 우주에서 가장 정교한 약국이 뇌에 존재하는 것이었다.

결국 내 몸 안의 일은 내가 결정을 짓는 것이다. 의지, 생각, 욕구 이 모든 것들이 나인 것이다. 관점의 전환 또한 나의 선택인 것이다.  

내가 마음을 바꾸면 나의 선택들도 바뀌게 될까?

내가 선택을 바꾸면 나의 삶이 바뀔까?

왜 나는 바뀌지 않는 걸까? 내가 집착하는 것이 무엇일까?

내가 집착하는 사람이나 장소, 사물, 시간 또는 사건들은 내가 그것으로부터 물러서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이 아닐까

 

이러한 물음.. 여기서부터 인간의 삶이 시작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기에 전부 열거 할 수도 없는 인간의 역사와 치열함을 잘 살펴보면 언제나 관점의 전환은 계속 진행하고 있었다.

 

 

 

 

 
  • ?
    정영옥 2008.05.22 22:22
    꾸준한 독서와 평생 공부를 통해 "관점의 전환"은 계속 진행되는 것이겠죠.
    독서클럽 _ 우리의 인생에서, 제 인생에서 참 중요한 사람들,시간,공간.
  • ?
    이병록 2008.05.22 22:22
    서울 6월 모임 때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으로 마무리하고 싶은데, 최적의 발표자는 전재영 회원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
    전재영 2008.05.22 22:22
    정영옥 회원님 부진한 제 글에 항상 관심 갖어주셔서 고마워욧~~
    이병록 대령님 과찬이십니다 ^^;; 다른이의 생각을 옮겨적은 것 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88 공지 박문호 박사님께서 말씀해주신 별보기 좋은 에어즈락 2 김주현 2007.06.14 18314
1887 공지 총..균..쇠..... 1 이지영 2007.06.15 1533
1886 공지 여행을! 3 양경화 2007.06.15 1714
1885 공지 6월 25일, 책 '연금술사' '희망의 인문학' '일류의 조건' 감상평을 받습니다. 1 김주현 2007.06.16 1823
1884 공지 책시장 거덜내는 할인경쟁 1 이동선 2007.06.16 2063
1883 공지 독후감란에 그림은 어떻게? 2 엄준호 2007.06.18 1730
1882 공지 박성일 원장님께 보내신 이종상 화백님의 메일 답신 7 박문호 2007.06.19 2828
1881 공지 타이밍 법칙 4 박문호 2007.06.19 1807
1880 공지 이종상 화백 공부하기 (1) 박문호 2007.06.20 3110
1879 공지 생명, 최초의 30억년 1 박문호 2007.06.20 1791
1878 공지 이종상 화백께 보내드린 6월 초 메일 -박성일 올림 1 박성일 2007.06.21 2177
1877 공지 새내기 질문 3 임성혁 2007.06.22 1656
1876 공지 [동영상]놀라운 지구의 역사 4 임성혁 2007.06.22 1768
1875 공지 "달무리 지면" -피천득 시인 - 2007.06.26 3305
1874 공지 [알림] 6월 26일(화) 120회 토론회 안내 송윤호 2007.06.26 1600
1873 공지 120회 독서모임 후 4 엄준호 2007.06.27 2193
1872 공지 120회 "총,균,쇠" 발표후기 8 정영옥 2007.06.27 2064
1871 공지 [7월 산행공지] 7월 1일 일요일 오후 2시 3 송나리 2007.06.27 1640
1870 공지 100권독서크럽 선정책 모음 6 현영석 2007.06.28 2493
1869 공지 나의 경주 문화 답사기-불국사 석굴암! 5 송근호 2007.06.28 19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