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724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언젠가 한번쯤은 마주하게 되는

 

나 자신에게 던지는 물음표


 


 


 


 


15인승 봉고차에 몸을 실고 경주를 찾아가는 길이


 


이 물음표에 다가가는 길이었음을


 


그때는 미처 알지 못했다.


 


 


 


 


나의 뿌리를 찾아


 


아득하게 묻어두었던 긴 세월을


 


거슬러 올라가는 이 길을


 


 


 


 


저의 빈약한 끄적거림으로   


 


감히 여러분과 함께 하고 싶습니다.


 


 


---------------------------------------------------


 


 


경주.


 


나는 신라의 지나간 세월을 무심히 잊고 있었지만


 


신라는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다.


 


 


 


신라의


 


이미 사라지고 없는 그 시간으로


 


들어가기 전


 


여러분에게 던지는 작은 물음 하나


 


 


 


 


 


 

 


 


 


 운명이 다하면 이름만 남는 것은 고금에 동일하니,


 


홀연 죽음의 어두운 길로 되돌아가는 데


 


무슨 여한이 있으랴!  


 


 


 


옛날 만사를 처리하던 영웅도


 


마지막에는 한 무더기 흙이 돼,


 


 


나무꾼과 목동들이 그 위에서 노래하고


 


여우와 토끼는 그 옆에 굴을 팔 것이다.


 


 


그러므로 헛되이 재물을 낭비하는 것은


 


역사서의 비방거리가 될 것이요,


 


 


헛되이 사람을 수고롭게 하더라도


 


나의 혼백을 구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숨을 거둔 열흘 후 바깥 뜰 창고 앞에서


 


나의 시체를 서국(西國: 印度)의 법식으로


 


 


화장하라. 


 


 


 


 


                                                       < 삼국사기- 문무왕의 유언 >


 

 

 

 

제 나라가 가장 앞자리에 서려


 


저마다의 기운을 뽐내던 세 나라를


 


통일한 임금


 


 




 


           


 




 


 


 


그런 문무왕의 비문에 새겨있는


 


......


 


 


쉬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


 


 


어느 글귀


 


 


 




 


 


 


 



 


 


누가 이 말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우리나라는 단일민족. 흉노족은 오랑캐.'


 


 내가 알고 있었던 것은 무엇인가...


 


 


 


 


 


 


문무왕이 흉노족의 후손이라는 것은


 


 믿기 어렵다.


 


 


 


 


 


그러나 .


 


믿지 않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


 


비문에 적힌 글귀.


 


 


'나는 흉노왕의 후손이다'


 


 


 


 


 


 


 


 


--------------------------------------------------


 


 


문무왕의 화장터로 추정되는 능지탑지.


 




 



 

능지탑지 앞에서...

 

-----------------------------------------------------------------------------

 

 

 마지막 백북스의 사진은 이정원 회원께서 찍어주셨습니다.

 

  대왕암 사진 출처 : http://nemo.pe.kr/87

  문무왕 비문 사진 출처:


 

  능지탑지 사진 출처: http://blog.daum.net/munwooh/10337221

 

 

 

  • ?
    이병록 2008.05.01 08:23
    능지탑지에서 사진을 찍으면서 "서울 인구가 대전보다 훨씬 많으니, 서울 모임이 대전을 능가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농담하였는데, 말이 씨가 되었으면 합니다.
  • ?
    김세영 2008.05.01 08:23
    시원한 비주얼의 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다음 시리즈가 기대되는데요. ^^; 모든 지식의 탐구는 의문에서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시작은 미미하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는 말도 있는지도 모르겠어요. 오늘도 일을 해야하는 관계로 기력을 모아 저도 연휴에는 글을 좀 올려봐야 겠습니다.
  • ?
    이상수 2008.05.01 08:23
    신선하고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시각적으로 금방 금방 들어오니 내용도 분명하게 다가오네요. 생각해 봐야할 것도 있습니다. 못간것이 후회됩니다.
  • ?
    이동선 2008.05.01 08:23
    잘 읽었어요^ ^ 보미(봄)샘의 글이 봄처럼 신선하게 내 가슴을 설레게 합니다 고맙습니다^ ^
  • profile
    김홍섭 2008.05.01 08:23
    운전하느라 잘 듣지 못해 아쉬웠는데 이렇게 정리해서 올려주니 너무 고맙습니다. 차안에서 대략 제 귀에 들어온 내용이 이것이었군요^^ 박사님 다음부터는 마이크를 꼭 챙기도록 하겠습니다.
  • ?
    전지숙 2008.05.01 08:23
    저번 김홍섭회원의 발표날 박문호 박사님의 설명을 듣다가 경주에 가고싶다라고 생각한적이 있었지요. 함께 갈 사람이 없어 나름대로 한가한날을 찾고 있었는데 이렇게 간접적으로 먼저 경주에 대해 엿볼수있어 좋기는하지만 이런좋은곳에 함께하지못한 아쉬움이 또 있네요.
    물론 그날 일이있어 함께하지는 못했겠지만 마음을 말하자면 이 글을 읽고 서운함도 드는건 사실입니다. 부지런히 활동하지않으니 이런 좋은 기회를 놓치는군요.

  1. 양해바랍니다

  2. [5/20] 오늘 프로젝트 써! 모임 : 사진 및 소프트웨어 활용팁

  3. [여행] 브라이스캐년 2

  4. [기사]뇌의 신비와 미래

  5. 우주의 시공과 생명.. 그리고

  6. 뇌와 마음 (Mind)

  7. 학교를 폐지하라, 그 곳을 레크레에션 센터로 바꾸어라.Roger C. Shank

  8. "책들에게 희망을"

  9. 뇌 생각의 출현 을 읽고 질문...

  10. 홈페이지 전면 개선 사업 모금 부탁드립니다

  11. [경주답사] 나의 뿌리를 찾아서 <1> 무덤없는 왕

  12. [독일] 1. 서양음악순례 - 베를린필하모니

  13. Center of Gravity

  14. 당귀 and 황기

  15. TED, 혁신적 과학 아이디어의 공유

  16.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17. 100books 독서클럽, 19일 대전 MBC '생방송 NOW'에 소개 되다(박문호 박사님 출연)

  18. 똑똑~~ 들어가도 될까요?

  19. 3월14일은 Pi Day?

  20. (충대신문에 실린) 100Books를 만나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