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313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며칠 전. 개학날 느낀 행복함을 글로 썼었지요.
개학날 뿐 아니라. 지금 약 3,4일 동안 매일 아이들에게 책에서 읽은 내용을 적용해 가며
지난 2년보다 올 3년차에 많은 보람을 느끼며 지내고 있었어요.

그림책 읽어줄 땐 아이들이 내용에 폭 빠졌고,
55가지 원칙 중 한두가지씩 매일 읽어주면서 설명하면 아이들이 끄덕끄덕 거리고
마인드맵 관련 책을 읽고 그 자료를 PPT로 정리한 후
아이들과 마인드맵을 연습한 다음 사회 과목을 1단원을 마인드맵으로 정리해보니,

첫 사회 시간동안 30여 페이지의  사회 1단원 흐름을 신기할 정도로 머리속에 다 넣었음을 확인했죠.
아이들도 자신의 두뇌가 발휘한 실력에 모두 깜짝 놀라 박수를 쳤구요..


요즘 그렇게 행복하고 좋은 선생님이 된 것 같은 기분에 들떠있으면서도.
항상 불안했고 두려웠어요.

언제까지나 내가.. 항상 내가 바라는 모습으로 하루하루 살아갈 수는 없는 거니까,
한번쯤은 지금의 행복에 금이 갈 수도 있는 거니까.



오늘이 그런 날이네요.

내가 바라는 모습이 아니었던 날.

요 짧은 기간동안 느꼈던 행복에 금이 간 날...


개학 한지.. 지금 한.. 4일째죠.



매일 뭔가 빠뜨린 아이가 있었어요.

공책을 가져오라고 했는데 가져오지 않았고.     (여일곱의 아이들이 안가져옴)

다른 사람에게 "새 공책"을 빌려서 다음 날 예쁜 걸로 다시 돌려주라고 했죠.

                                                      (필기는 누적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공책이 없는 사람은 자리에서 일어나라고 했고,

다른 친구에게 공책을 빌리면 자리에 앉으라고 했어요.

모두 자리에 앉은 걸 확인한 후 수업을 시작했지요.



다음 날, 그 아이는 공책도 아니고, 낙서장도 아닌 곳에.

수업시간에 필기한 내용은 적지 않고 짝과 작게 떠들고 있더군요.

                                           (교실을 돌아보니 필기 안한 아이는 그 아이 포함 2명)



그 공책을 들어 살펴보니 어제 배운 내용 필기가 되어있지 않더군요.
                                          
                                           (어제 내용도 필기되지 않은 아이는 그 아이 한명)

물어보니 어제 공책을 안가져왔었대요.

친구한테 새 공책을 빌려서 쓰지 않았었냐고 물으니

다른 친구 공책 찢은거에다가 필기한 후 버렸다고 하더군요.

제일 뒤에 앉아서 떠들기도 하고.

그래서 어제는 제일 뒤에 앉아있던 자리를 앞자리로 옮겼어요.

제 시야에서 멀리 있으니 가까이 앉혔지요.



오늘은 국어 교과서를 안가져왔어요. (다른 교과서는 가져왔지만.)
                                                  (그 아이 말고도 4명의 아이가 더 안가져왔지만.)

그 아이는 그런 행동이 계속 되었기 때문에
얘만은 무섭게 혼내고 다음부터는 그러지 말도록 해야겠다는 마음이 강했었죠.

                                               (이 마음이.. 오늘 안좋은 일의 시초였던거 같아요.)

앞으로 나오라고 해서,                 (얘는 어제 나눠준 시간표도 안가져갔길래)
주먹을 대고.                              (내 주먹)
머리를 여기에 박으라고 했어요.     (쿵! 하고.. 꿀밤처럼)

한 두대 박더니.                           (좀 약하게)

웃더라구요.

무섭게 말했죠.
웃어? 한번 더.  또 한번더. 한번 더.

그리고 다음부턴 잘 가져오라 하고 들어갔어요.



애 엄마한테 전화가 왔어요.
고래고래 소리지르시더군요.
어떻게 아이를 주먹으로 "가격" 할수가 있냐고.
교장실에 전화하려다가 저한테 하는거라고.
애 이마가 퉁퉁 부었다고.
앞으로 지켜볼거라고.

저는 앞뒤 상황을 설명드리고.

제가 잘못된 "방법"을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죄송하다고 했죠.
그렇지만 왜 그런 일이 생겼는지는..

하루, 이틀, 삼일.. 그간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아서. 이야길 했는데.

고래 고래.. 소리 지르시고. 끊으시더군요.



잠시 후. 다시 집에 전화를 드리고. 안받길래 핸드폰으로 걸었더니
끊어버리시고...



저도 생각해보면. 잘못이었죠.
그래도. 오늘은 참 힘드네요.



--------------------------------------------------------------------------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생각했어요.

제가 잘못한 부분은 아이에게 손을 댄 것이죠.



그리고 학부모님께도 제가 사용한 "방법"에 대해서는

제가 생각이 짧았다고 말씀드렸어요.

하지만. 그 아이에게 혼낸거 자체는 후회하진 않아요.
몇일을 지켜보았을 때, 그 아이는 규칙에 대해 제대로  개념이 박혀있지 않은 것 같았거든요.


다만.
혼내는 방법으로 반성문을 쓰게 하거나, 혹은 규격화된 매를 썼으면
덜 하지 않았을까 싶은 후회는 드네요.
문제는 제가 손을 사용한 것이고

아이의 피부가 부풀어 올랐다는 것이죠.



그 어머니도 아이가 혼난거 자체보다는

책을 안가져온 아이가 4명인데 그 아이 혼자만 꿀밤을 맞았고.

또 꿀밤맞은 그 이마가 부었기 때문에

더욱 감정적이셨을거예요.


앞으로가 걱정이네요.
제가 과연..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아이들을 대할 수 있을까요..

나를 움직이는 힘이 "내"가 되는게 아니라.
아이들이 학교에서 겪은 이야기를 듣고

저에 대해 이야기하는 학부모님들의 "입"이 될까봐
그게 두렵네요.


그래도 오늘 저의 행동은

생각하면 생각할 수록. 확실히 잘못이 있었어요. (단, "방법" 의 잘못. 그 외에는 물러서고 싶지 않네요.)

아직 서로에게 상처주지 않으면서도 엄격하게 교육하는 방법이 몸에 배지 않은

신출내기 교사이기에.



매 순간 순간 판단을 하기 전에

멈추고. 생각해보고. 행동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참. 아직 갈 길이 머네요.

나나, 그 학부모님이나. 갈 길이 멉니다.

 

P.S

 

학교의 우울한 이야기를 하기 전. 고민했습니다.

학교에서 제가 겪은 좋은 이야기를 밖에 할 수록 저도 기분이 좋아지는데,

안좋은 이야기는 그 안에 가지고 있는게 더 낫지 않을까 하여..

 

그러나 지극히 .. 아직 그릇이 작은 선생으로서,

이런 우울함을 쓰지 않으면.

언제나  행복하고 좋은 선생님, 즐거운 아이들.. 이렇게 포장하는것 같아서.

마음이 무겁습니다.

 

교사가 학부모 욕하는 것을 공개적으로 올린 듯한 찝찝한 기분입니다.

이런 일이 생긴 오늘이 유감스럽습니다.
  • ?
    이병록 2008.03.07 04:20
    兵家에도 한번 실수는 있다고 했는데 실수하면서 배우는 것이고, 학생의 어머님도 체벌보다 무서운 것이 무관심 혹은 포기라는 것을 모르시는 모양입니다. 젊은 선생님이 교장이나 교감선생님같이 노련하면 더 이상한 일이 아닐까요?
  • ?
    전재영 2008.03.07 04:20
    이병록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 합니다.
    아이가 빨리 알길 바래요 '차라리 맞는게 낫다'라는 체험에서 울어나는 진리를요
  • ?
    이상수 2008.03.07 04:20
    힘내시구요.

    검도장 6개월 운영하여 얻은 벌주는 방법입니다.

    1. 아이들이라 그런지 같이 신나게 놀다가도 언제 그랬냐는듯 싸웁니다.

    => 두명을 가깝게 붙여놓고 거울을 통해 자기 얼굴을 바라보게 합니다. 서로 화해하기 전까진 집에 못간다고 엄포를 놓습니다. 그리고 자기 일을 하다가 슬쩍 슬쩍 어떻게 하고 있나 봅니다. 고개를 돌려 서로 외면하고 있다가 대부분 10분도 안되서 삐죽 삐죽 웃으면서 서로 화해합니다. 그리고 화해하면 서로 손잡고 마주서서 노래 부르라고 합니다. 싸우면 이렇게 시킨다고 미리 말해 둔거죠. 하지만 실제로 하는 척 만하고 그냥 넘어갑니다. 자기들도 웃겨서 그냥 기분좋게 넘어 갑니다. 화해의 표시로 서로 포옹하라고 하면 이정도는 하더군요. 서로 쑥스러워서 웃으면서 하죠.(분위기가 다운되지 않는 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번 다운되면 저나 아이들이나 서로 힘들기 때문에..)

    2. 처음에는 절대 체벌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업드리게 하고 엉덩이를 죽도로 체벌합니다. 하지만 두대 이상은 때리지 않습니다. 일단 업드리게 하면 분위기가 살짝 긴장된 분위기입니다. 그리고 죽도로 소리만 크게 내고 실제로는 살짝 체벌합니다. 업드려 맞아도 웃지만 일단 주의 환기는 됩니다.

    3. 체벌시 다음과 같은 말을 꼭 합니다.

    "관장님은 공공이를 좋아하니까 더 잘하라고 정신차리라고 때리는 거야~! 알았지?"

    "공공이는 무슨 무슨 잘못을 했지?" (수긍하면 그제서 살짝 체벌합니다. 수긍 못하면 왜 잘못한 것인지 꼭 설명해줍니다. 하지만 아이의 경우 삐쳐서 떼를 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관장님이 너희를 때려야 하니 얼마나 마음이 아픈지 아냐? 그러니까 잘못하지마라~!" (웃으면서 "그럼 때리지 마세요~!" 라고 말하긴 하지만 살짝 긴장합니다. 맞고 나면 대부분 웃습니다. 소리만 크고 안아프게 때리기 때문입니다. "하나도 안아프다" 말하면서 좋아라 합니다. 그러면 한마디 해줍니다. "한대 더 맞을까?^^")

    4. 누가 잘못했을 시 대부분 연대책임을 물어 단체기합을 줍니다. 제 딴에는 사회성이나 책임감을 느끼게 해주려는 것입니다. 하지만 작은 실수로 한 아이가 지탄받거나 하는 단점이 생길 수 있다는게 문제인데 아직까지는 그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체벌이 약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아이들이 쉽게 쉽게 마음이 변하는 특성 때문인지..

    5. 사무실에 불러서 단 둘이 이야기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알아듣을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죠. 그 아이를 띄워 주면서, 예를 들면 "너는 검은띠니까 네가 이해해야 하지 않겠느냐?" "네가 참아야 하지 않겠느냐?" "네가 형이니까 너 6학년인데 저기 초등학교 2학년 동생하고 싸울꺼야? 아직 어려서 이해 못하는 것인데.." 대충 이런식으로 설득시키려 하지만 잘 알아듣는 학생은 적더군요. 그래도 관장님이 자신을 알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다음번에는 행동을 잘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도장의 특성상 아이들이 다치는 것이 제일 걱정입니다. 아무 생각없이 주변도 확인하지 않고 목검을 붕붕 휘두르니.. 아이들 노는 모습 지켜보면 장난이 좀 과격할 때가 많습니다. 잠시 지켜보지 않는 사이 그런 때 항상 싸우고 다치고 하더군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 ?
    이정원 2008.03.07 04:20
    보미샘, 힘내세요!^^
  • ?
    주용성 2008.03.07 04:20
    그런 일이 있었네. 이궁~ 속이 상할만 하네... 나도 나중에 똘기가 다분하신 환자분이 오신다면.. ㅠ.ㅠ 정말 병원하기 싫어질 듯...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8 공지 3월 1일 모임 후기입니다요~~~ 3 장제선 2008.03.04 1140
1327 공지 100권독서클럽에 오면 타이밍을 잡을수있다!! 6 전재영 2008.03.04 1292
1326 공지 개학 날 빵빵한 가방. 7 윤보미 2008.03.04 1289
1325 공지 고흥군 별분양 받으세요~~ 4 전재영 2008.03.04 1277
1324 공지 책 소개 드립니다 3 박문호 2008.03.04 1577
1323 공지 It's Daejeon을 읽고나서요. 2 황경미 2008.03.04 1141
1322 공지 프로젝트 써! 모임 후기입니다. 5 김윤정 2008.03.05 1173
1321 공지 [써!]독서클럽에서 교육을 낚다. 4 복정식 2008.03.05 1146
1320 공지 한겨레 신문을 읽다 만난 반가운 얼굴 ^^* 5 임석희 2008.03.05 1317
1319 공지 양자역학에 관한 책 소개 4 박문호 2008.03.05 1703
1318 공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4 윤성중 2008.03.06 1671
1317 공지 이런 글 5 이동선 2008.03.06 1121
1316 공지 어제 처음으로 모임에 참여했던 신입회원입니다^^ 7 천애련 2008.03.06 1132
1315 공지 기록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습니다. 14 박문호 2008.03.06 1192
1314 공지 137.3 억년에 +_1억 2천만년정도의 오차 1 박문호 2008.03.06 1314
» 공지 누구에게나 우울한 날은 있다. The Blue day. 5 윤보미 2008.03.07 1313
1312 공지 [re] 진리 <아픈 만큼 성숙한다> 3 윤보미 2008.03.07 1178
1311 공지 아인슈타인이 한국인이 었다면 어떠했을까?' 3 전재영 2008.03.07 1260
1310 공지 "사랑해"라는 말을 한문(문자)로만 써야만 했다면.... 7 임석희 2008.03.07 2118
1309 공지 <프로젝트 써!>꿈길을 걸어가는 오늘이 행복하다. 8 류우정 2008.03.07 13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