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0.13 07:53

좋으면 그저 하는 것이다

조회 수 202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좋으면 그냥 하는 것이다





이독(耳讀)이란 귀로 책을 읽는다는 말이다. 우리는 눈으로 책을 읽는다. 소위 目讀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각장애인이나 나이가 들어 시력이 감퇴되면 눈으로 책을 읽기가 힘들어진다. 물론 점자로 책을 읽는 방법이 있지만, 연로하신 분들에겐 점자를 새로 익히기도 힘들뿐더러 점자로 된 책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 선진국에서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오디오 북이 진즉 발달이 되어 있다. 다행히 요즈음 우리나라에도 오디오 북이 다양하게 출간되고 있고 카톨릭 재단에서도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오디오 북을 제작하여 무료로 빌려주고 있다고 한다. 


일전 100권독서클럽 독서토론회에서는 93세의 원로 철학자 정종 박사님을 모셨다. 중학교 때 ‘무솔리니의 전기’를 처음 읽게 된 것을 계기로 독서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고, 일본인 이시마루가 쓴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읽고 철학을 전공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등산도중 불의의 사고로 한쪽 눈을 실명했으나 독서에 대한 열정은 식을 줄을 몰랐다. 한쪽 눈을 혹사하다보니 90세에 나머지 한쪽 눈마저도 잃게 되었다. 책을 읽을 수 없게 된 것이다. 두 눈이 안 보이게 되자 상실감에 한동안 우울증에 빠진 적도 있었지만, 실명이 책에 대한 열정을 막을 수는 없었다. 耳讀을 생각해 낸 것이다. 이때부터 소설을 녹음해 놓은 오디오 북을 구해서 책을 읽기 시작했다. 9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시각장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3년 6개월 동안, 하루에 열 시간씩 하루도 거르지 않고, 수백권의 오디오 북을 읽었다고 한다.


이 분에게 인생의 가치는 讀과 講의 즐거움에 있다. 12살에 설정한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명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책을 읽기 시작했고, 이제 후손들에게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지 보여주기 위해 책을 읽고 있는 것이다. 책을 왜 읽느냐고 묻는 것은 바보스러운 질문이다. 영국의 전설적인 산악인 조지 맬러리(G.L. Mallory, 1886~1924)는 산에 왜 가냐는 질문에 “산이 거기 있어서(Because It is there!)"라고 하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좋아하는 것을 하는 데에는 이유가 따로 필요 없다.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것 그 자체가 이유인 것이다. 좋으면 그냥 하는 것이다. 우리의 인생도 그저 좋아서 하는 일을 하면서 살 수 있다면 그 삶은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 아니겠는가?


며칠 전 정년을 얼마 남기지 않은 어느 여교수가 이런 말을 했다. “요즈음 인생이 허무하게 느껴진다. 남들은 부를 쌓든지 사회적 명예를 얻든지 뭔가 해놓은 것 같은데, 나는 아무것도 이렇다 하게 해놓은 게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소위 돈도 명예도 없고, 학자로서 이렇다 할 학술적 성과를 낸 것도 없고, 공부한답시고 가족들에게도 소홀히 한 것 같고, 그렇다고 훌륭한 제자를 키운 것도 아니고...” 듣고 보니 나도 뭐 별다르게 이루어 놓은 것이 없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렇다고 내가 실패한 인생을 살았다고는 생각해 본 적은 한 번도 없다. 사회통념으로 대학교수이면 그래도 뭔가 이룬 것 아니냐는 반문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그렇게 느끼지 못한다. 왜 그럴까?


우리가 인생의 가치 기준을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나는 그 답을 정종 박사의 인생에서 찾아본다. 속세의 잣대로 우리의 인생을 재면 허무하기 그지없을 것이다. 하지만 나 자신이라고 하는 존재의 가치에 중심을 두고 우리의 인생을 바라보면 자신이 대견스럽고 인생이 행복하게 느껴질 것이다. 내가 좋아서 하는 강의, 내가 좋아서 하는 독서, 그것이 무엇이든, 어디에서 하든, 그저 그 행위가 좋아서 하는 것이라면, 그 자체로 충분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다른 이유가 필요 없는 것이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재우 2007.10.13 07:53
    '좋으면 그냥 하는 것이다.......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말 멋진 말인 것 같습니다. 이 글 읽고 왜 이리 기분이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 ?
    엄준호 2007.10.13 07:53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강 교수님의 글은 언제나 진실함이 느껴져 저는 참 좋아합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 보다 더 좋을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나 제겐 쉬워 보이지 않네요. 그저 저는 "제가 하고 싶은 일을 조금이라도 더 하는 삶"을 살아보려고 아둥바둥 할 뿐이랍니다. 그래서 이렇게 새벽에 우리 독서모임 사이트도 기웃거려 보네요...
  • ?
    조동환 2007.10.13 07:53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공감이 갑니다. 그리고 이렇게 좋은 강의를 들을수 있게 해주셔셔 감사합니다.
  • ?
    현영석 2007.10.13 07:53
    독일어로 인생, 삶이란 Das Treigen 추구하는 것, 직역하면 영어로는 Try, 시도하는 것.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하는 것" 일맥상통하는 것이 아닐까요 ?
    정종박사님의 우리 독서모임 강의를 동영상으로 나마 보고 적지않게 충격 받았습니다. 세상사에 의미를 부여하는 사고와 능력이 자기를 결정 짓는 다는 생각을 다시 합니다.
  • ?
    양경화 2007.10.13 07:53
    하고 싶은 것을 하는 인생. 이보다 더 행복한 삶이 있을까 싶어요. 해야 하는 것에 눌려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짧은 시간이라도 책을 읽을 수 있는 제가 참 복받은 인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정종 교수님의 반의 반이라도 따라갈 수 있을까 싶습니다.
  • ?
    김양미 2007.10.13 07:53
    강신철 교수님, 기창패에서 만났던 김양미입니다. 수통골 워크샵에서 뵈었었죠. (장애인보조기기 관련 창업준비한다고 소개했던 사람이었는데, 기억하실까요?) 교수님 글에 깊이 동감합니다. 어떤 기준에 의해 인생을 줄세우기하며 성공여부를 따지기 보다, '나 자신이라고 하는 존재의 가치에 중심을 두고' 사는 삶이 진짜 행복한 삶이겠지요? 이 글을 읽으니 기운이 나고 힘이 나네요.
  • ?
    김수연 2007.10.13 07:53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8 공지 비오는 계룡산(9월 2일) 4 문경목 2007.09.05 1517
1767 공지 박문호박사님, 대전시 희망의 아카데미 강연 2 이동선 2007.09.05 2565
1766 공지 가입확인요청 2 이홍윤 2007.09.07 1382
1765 공지 안녕하세요! 고병권입니다 8 file 고병권 2007.09.08 2890
1764 공지 호주를 탐사하는 다섯 전사들에게 詩를 보냄 2 박성일 2007.09.08 1506
1763 공지 컬러화보가 있는 최신과학이야기책들... 1 임성혁 2007.09.10 1477
1762 공지 off-line 독서모임에 참여하려 .... 2 이정아 2007.09.10 1350
1761 공지 명사들의 공부법 4 이동선 2007.09.12 2153
1760 공지 6일 동안의 서호주 탐사, 100북스탐험대가 가다 12 김주현 2007.09.13 3459
1759 공지 이정원씨질문에대한답변(독후감1309관련) 2 엄준호 2007.09.14 1668
1758 공지 [공지] 금일(14일 금요일) 125회 토론회 및 뒤풀이 안내 !! 4 송윤호 2007.09.14 1664
1757 공지 해상시계 2 박문호 2007.09.16 2381
1756 공지 [공지] 9월 20일(목) 임해경 교수님 독주회 참석 안내 9 송윤호 2007.09.16 1886
1755 공지 [공지] 10월 산행알림-10시에 시작합니다. 3 이진석 2007.09.16 1381
1754 공지 니체 - 뱀 - 자기극복 - 천경자 임석희 2007.09.17 2023
1753 공지 수유+너머 홈페이지에 토론회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 송윤호 2007.09.17 2263
1752 공지 어느 고수(고병권 박사)와의 만남 후에 2 엄준호 2007.09.18 1935
1751 공지 니체의 영향을 받은 고병권 님의 철학을 접하고 2 이정원 2007.09.18 1983
1750 공지 황금연휴를 책과 함께/내일신문 이동선 2007.09.18 2139
1749 공지 Economy21 인터뷰 기사 全文입니다. 김용전 2007.09.20 17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