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8.13 18:48

스토로마톨라이트

조회 수 2255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과학] 호주의 35억살 유기물, 미생물로 확인 [연합]







호주 과학자들이 지구상에서 가장 오랫동안 보존되고 있는 35억년 전 유기물 화석으로부터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호주 퀸즐랜드 대학 연구진은 '스트로마톨라이트'로 불리는 이 살아있는 화석으로부터 채취한 표본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생물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호주 서부 필바라 지역에 남아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간접 분석 방식으로만 이루어져 이것이 미생물로 이루어졌을 것이란 추정만 가능했을 뿐 실제로 확인되기는 처음이다.

연구진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고난도 전자 현미경 기술과 관찰을 결합시켜 스트로마톨라이트의 핵심부에서 채취한 표본을 분석한 결과 미생물의 흔적을 결론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많은 학자들은 필바라 지역이 지구 최초의 생명체가 탄생한 곳일 지 모른다고 믿고 있다.

필바라 지역의 얕은 바다 샤크만에 노출돼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선(先)캄브리아 시대(시생대)의 지층에서 식별되는 유일한 화석으로 미생물이 낮에는 광합성을 하고 물 속의 작은 모래 알갱이나 부유물 입자들과 합쳐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돌같은 모양으로 굳어진 것이다.

이 연구는 '선캄브리아연구'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브리즈번<호주> UPI=연합뉴스)

 

 

=================================================

 

이진석 회원이 다음주에 발표할 "생명 최초의 30억년"과 관련된 기사입니다.

 
  • ?
    임성혁 2007.08.13 18:48
    호주 서부에 있는 35억 년 전의 와라우나 층군의 퇴적암은 지구 초기의 생명과 환경을 들여다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창이다. 와라우나 층군의 암석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박테리아 화석으로 해석될 수 있는 미세구조가 존재하지만 이 해석은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화학흔적은 생명의 처음이 언제인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공하지만, 그 흔적이 기록하고 있는 생물이 무엇인지는 불확실하다. 지구 초기의 생명에 대한 지질학적 탐사는 아직까지 어두운 유리창 속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다. --- p.79 <==이부분이 과학적인 사실로 밝혀졌군요.역시100북클럽에서 선정도서가 될만한 책이네요.^^
  • ?
    이진석 2007.08.13 18:48
    박사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호주 서부 와라우나 층군에서 발견된 스토로마톨라이트가 미생물의 화석이 아니라 단순한 광물이라는등 [생명 최초의 30억년]가 쓰여질때만해도 의견이 분분했었는데 생명의 흔적으로 판명이 되었군요. 그렇다면 화학합성으로 물질대사를 했던 미생물은 35억년전 보다 훨씬이전에 활동을 했다는 추측과 함께 생명의 기원은 38억년전이라는 설이 힘을 얻겠군요. (본문 4장 참조)
  • ?
    이상수 2007.08.13 18:48
    다음 독서모임 선정도서인 <생명 최초의 30억년>에서는 임성혁님의 말씀처럼 독자들에게 질문과 의문, 호기심등을 많이 품게 해주고 있습니다. 지금 읽고 있는 중인데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 ?
    엄준호 2007.08.13 18:48
    위의 연합뉴스 기사는 바로 잡아야 할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Science Daily에 실린 UPI 인용기사와 인용 논문 초록을 확인한 바에 따르면
    1) 미화석은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아니라 해저 열수분출공에 인접했던 퇴적층에서 채취한 것임
    2) 따라서 이 미화석은 전자현미경을 사용한 분석을 통해 해저 열수 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 형태와 비교되었음
    3) 시료 채취 암석의 추정연대도 35억년이 아니라 32.4억년

    한편 "생명 최초의 30억년"에서도 와라우나 층군으로부터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후, 새로운 탐사 후보지로 해양 열수분출공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2000년 초 호주의 지질학자가 와라우나 층군보다 약간 더 나중인 32억년 전의 열수광상에서 생물임이 틀림없는 필라멘트 모양 미화석을 발견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아마도 이번 연구 결과는 이 열수광상에 대한 추가 연구 결과인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8 공지 56회 토론회 후기입니다. ^^ 송윤호 2004.10.27 2058
1087 공지 [129회 독서토론회]'열하광인' 현장 스케치 8 박혜영 2007.11.20 2058
1086 공지 정동진풍경/추암해수욕장 김홍섭 2007.11.23 2059
1085 공지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입니다. 다들 잘 지내시는지요? 2 송근호 2004.09.05 2061
1084 공지 독서산방 모임 3차원적 접근 2 현영석 2007.10.01 2061
1083 공지 <B>[공지] 차기 모임 관련 안내 1 송윤호 2004.01.08 2062
1082 공지 책시장 거덜내는 할인경쟁 1 이동선 2007.06.16 2063
1081 공지 [필독] 6/10 (화) 장소변경 : 문태준 시인 초청 독서토론회 1 file 이정원 2008.06.09 2063
1080 공지 『이덕환의 과학세상』 2 이중훈 2009.03.25 2063
1079 공지 날씨가 점점 추워지네요~ 1 민기득 2004.12.03 2064
1078 공지 다마지오의 새 책이 나왔습니다----스피노자의 뇌--- 1 박문호 2007.05.21 2064
1077 공지 120회 "총,균,쇠" 발표후기 8 정영옥 2007.06.27 2064
1076 공지 [기사]물리학의 표준모형..이종필박사 1 서지미 2009.02.17 2064
1075 공지 천체우주 + 뇌과학 통합 기념 지난 줄거리 정리 모임 제안 4 현영석 2008.05.31 2065
1074 공지 <b><marquee>[50회 특집]이진경,고미숙,고병권 박사 초청 확정!! 2 송윤호 2004.07.22 2066
1073 공지 비둘기 관찰 3 이병록 2008.06.17 2066
1072 공지 운영자님! 3 박은정 2004.07.01 2067
1071 공지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하나 4 박문호 2007.08.11 2068
1070 공지 모임 즐거웠습니다 4 유현숙 2004.01.08 2069
1069 공지 의도된 어려움 1 김창수 2004.12.09 20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