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6.26 05:46

"달무리 지면" -피천득 시인

-
조회 수 33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천득 시집

-琴兒戀歌 중에서.



 

(1)달무리 지면




 

 

달무리 지면서

이틑날 아침에 비 온다더니

그 말이 맞아서 비가 왔네

 



눈 오는 꿈을 꾸면

이듬해 봄에는 오신다더니

그 말은 안 맞고 꽃이 지네.

 




한마디로 감동입니다. 솔직히 저는 피천득시인의 이름만 알고 있었습니다. 유명한 시를 학창시절에 시험문제로 풀기도 하였지만 늦게나마 가슴에 와닺는 시 한편을 음미할수 있는게 행복합니다.






 

(2)진달래

 



 

겨울에 오셨다가

그 겨울에 가신 님이



봄이면 그리워라

 

 

봄이 오면 그리워라



눈 맞고 오르던 산에

진달래가 피었소

 




  김소월의 진달래와 같은 애뜻함은 약해도 나름의 생각에 잠겨봅니다.

서울 국제 도서전에서 범우사 코너에서 대박세일에 건졌던 조지훈시인,피천득 시인의 시집들을 들고 있었던게 저의 기쁨입니다.





 

 

*참조 =발췌

 

피천득論 -김우창 교수님(고려대)




 

 

 19세기 초 영국의 낭만시인인 워즈워드는 자연의 소박한 삶을 소박하고 단순한 말로서 시 속에 담으려고 한 자신의 시작(詩作) 태도를 옹호하면서 , 그가 부딪히게 되는 어려움의 하나로서 시대의 복잡성과 그것으로 일어나는 감성의 둔화(鈍化)를 지적하였다.




 

 

 시가 하는 일은  이 일체성(-역자주->결국 작은 것에서든 큰것이든 사람의 마음과 사람의 일은 모두가 일체인 것이다.)의 마음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여기'와 '오늘'을 넘어가는 튼 것을 생각하게 하면서 , 여기와 오늘의 잇는 작은 것들에 대한 섬세한 모양을 느끼게 한다.



 대체로 서정시는 적어도 그 관심사라는 관점에서는 작은것들에 귀기울여 왓다고 할 수 있다.특히 우리의 서정시의 전통이 그러했다. 금아(琴兒)선생의 시는 이러한 우리의 시 전통속에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88 공지 흥미로운 랑데뷰 2 엄준호 2007.12.31 2113
1887 공지 산 넘어 산(117회 독서 토론 필독도서 추천) 1 박혜영 2007.05.04 2113
1886 공지 올 상반기엔 픽업 불가 ㅠ.ㅠ 3 송윤호 2005.03.08 2113
1885 공지 소고를 위한 산책로에서 김주환 2003.07.16 2113
1884 공지 [55회차 모임 안내] 10월 12일 화요일 오후 7시 송윤호 2004.10.03 2112
1883 공지 진짜 독서란? 강신철 2005.03.17 2110
1882 공지 질문이 있는데요... 3 유현숙 2003.12.12 2110
1881 공지 [기사]아킬레스와 거북이..수학관련 1 서지미 2009.02.17 2109
1880 공지 토사구팽 당하라의 김용전입니다. 1 김용전 2007.08.28 2109
1879 공지 <font color=red><b>8월 9일 화요일 75회 토론회 송윤호 2005.08.06 2109
1878 공지 당나라와 7 년 전쟁 1 박문호 2005.07.01 2109
1877 공지 <font color=blue>너무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 2 송윤호 2004.03.10 2108
1876 공지 6월 8일 화요일 47차 모임~! 송윤호 2004.06.07 2107
1875 공지 안녕하세요^^ 1 조준희 2003.09.25 2107
1874 공지 기사 - 중력과 양자론 하나로 결합 ‘통일장 이론’ 언제나 나올까 서윤경 2005.04.06 2106
1873 공지 7 월 입니다~!!! 1 송윤호 2004.07.02 2104
1872 공지 [스페인] 15. 그라나다 : 알람브라 궁전의 추억 10 이정원 2009.02.06 2103
1871 공지 순수 집착하는 한국인의 이중심리 문경수 2007.08.08 2103
1870 공지 제 2 차 독서 여행 1 박문호 2005.06.07 2103
1869 공지 뇌와 열반 - 뇌과학자의 뇌졸중을 통한 경험 12 임재춘 2009.02.22 21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