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5.15 23:00

제비야 네가 옳다

조회 수 1968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민복이는 언제나 이딴 얘기만 했다 -  김훈


 


함민복의 글은 삶의 갈피갈피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그는 삶의 고통이나 슬픔과 더불어 아름답고 강인한 친화력을 보인다.


이 친화력이 언어적 장식의 유혹을 뿌리치고 삶의 구체성을 향해 곧게 나아갈 때, 그는 <제비야 네가 옳다>또는 <눈물은 왜 짠가>처럼 짧고도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함민복은 강화도 서쪽 바닷가에서 버려진 농가를 빌려 살고 있다. 나는 라면과 소세지를 장만해서 민복이네 집에 몇 번 놀러 갔었다. 부탄가스도 사다 주었다.


우리는 바닷가 갯펄에 앉아서 지는 해를 바라보며 라면을 끓여서 소주를 마셨다.


나는 민복이가 우리나라의 중요한 시인이라는 것을 아는데, 민복이는 이걸 전혀 모른다.


만복이는 취중에도 문학 얘기는 일절 하지 않는다. 민복이는 제비가 딴 집에만 집을 짓고 자기 집에 와서는 구경만 하고 갔다고 투덜거렸으며, 올 가을에는 망둥이가 살이 덜 올랐다고 걱정했다. 민복이는 언제나 이딴 얘기만 했다.


가난과 불우가 그의 생애를 마구 짓밟고 지나가도 그는 몸을 다 내주면서 뒤통수를 긁고있다. 그는 세상을 버리지 못하는 은자隱者이고, 숨어서 내다보는 견자見者이다.


                                                         


*******


제비야 네가 옳다



 




강화도 우리 동네에는 이십여 호의 집이 있다.


그 중 제비가 집을 짓지 않는 집은 빈집 두 집과


남자 노인이 혼자 사 는 집. 그리고 역시 남자 혼자 사는 우리 집 뿐이다.


재작년 봄, 제비가 날아와 집을 지으려고 거실까지 들어와


내 삶을 염탐할 때, 나는 몹시 마음이 들떴다.


그러나 사람이 살지 않는 빈 집에 집을 짓지 않는 제비는


딴 곳으로 날아갔다.


나 아닌 다른 생명체와 한 지붕 밑에 같이 살고 싶은 마음은 낙담이 컸다.


작년엔 제비를 속여보려고 노력도 했었다. 티브이를 크게 틀어


여자와 아이들 목소리도 내고 빨래를 널어보기도 했다.


그런 데 결과는 역시 마찬가지였다.


제비는 한 가정을 이루지 않고 살아가는 나의 삶을,


언제 떠날지 모르는 뿌리가 없는 삶이라고 결론을 내렸던것 같다.


 


 - 산문집 <눈물은 왜 짠가> 중에서


 


머리가 아파서 함민복 시인의 글을 찾아 읽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세상을 정화하는 박테리아처럼, 시인은 사람들의 때를 대신 닦아주는 일을 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위의 시가 마음을 잔잔하게 하는군요...


 

  • ?
    이상수 2007.05.15 23:00
    저도 기사도 찾아보고 했는데, 함민복 시인에게 되게 친근감을 느낍니다. 작년에 무성산에서 살던 집이 선정도서 게시물에 올라온 집만큼이나 허술한 곳이었고.. 이곳 저곳의 기사에서 그는 가난하다라고 하는데 저도 가난해서 그런지 친근감을 느낍니다. 하하하
    대개는 가난하다는 것을 말하기 껄끄로울 때가 많은데 함민복 시인의 글 앞에서는 그냥 담담히 이야기 할 수 있네요.

    기대되어서 은근설쩍 설레이는 마음이 간혹 간혹 듭니다.
  • ?
    정영옥 2007.05.15 23:00
    저는 주말농장의 상추를 뜯어다 드리고 싶었습니다. 아무것도 아닐수 있지만 모든것일수 있는 무언가를 드리고싶은 마음이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48 공지 ■ 과목별 선생님들의 학생 꾸짖는 말씀들....^^ 1 김만섭 2008.06.24 1717
1947 공지 [2008년 6월 22일 ] 산행 스케치 10 윤보미 2008.06.23 2189
1946 공지 이지호 관장님께 감사드립니다 1 현영석 2008.06.23 1895
1945 공지 자연과학을 공부하면서 철학도 공부해야 하는 이유? 4 엄준호 2008.06.23 2052
1944 공지 습득했습니다. 온지당에서. 4 임석희 2008.06.23 1747
1943 공지 스페인 열흘 다녀옵니다. 21 이정원 2008.06.23 3113
1942 공지 [기쁜 소식] 강신철 교수님 완전 복직 26 현영석 2008.06.22 2245
1941 공지 '면벽침사록' 중인 사람 인사올립니다. 4 김래호 2008.06.22 1914
1940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5 최형철 2008.06.21 1744
1939 공지 100books' creators (현영석, 강신철, 박문호)에 관하여 11 박성일 2008.06.21 2544
1938 공지 5학년이 말하는 "기질적 표상" 9 윤보미 2008.06.21 2057
1937 공지 [독서산행] 6월 22일 10시 "계룡산" (학봉교에서 만나요~) 4 송나리 2008.06.21 2013
1936 공지 찾아주세요 1 백종우 2008.06.20 1410
1935 공지 [기사 스크랩]다음달에 우주 태초의 수수께끼를 풀 단서가 발견 되기를 바래봅니다. 4 임성혁 2008.06.20 1901
1934 공지 제게 너무 기쁜 일이 생겼답니다 29 file 엄준호 2008.06.19 2117
1933 공지 문경수님의 글을 읽다가 4 전지숙 2008.06.19 1932
1932 공지 [기사 스크랩] 서울대 도서관 대출 톱10 모두 소설ㆍ에세이 1 문경수 2008.06.18 1969
1931 공지 어제 프로젝트 써~! 모임의 진행 내용이 궁금합니다. 4 이해선 2008.06.18 1525
1930 공지 안녕하세요. 강연회 안내와 홍보 부탁드립니다. 2 file 노현승 2008.06.18 1681
1929 공지 비둘기 관찰 3 이병록 2008.06.17 20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