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33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산칼럼] 우려되는 학습기피증 .. 韓駿相 <연세대 교육학 교수>

게재일: 2002-09-16  
한국경제신문  
      
태풍 루사가 할퀴고 간 지역이 신음하고 있다.

하늘은 높아지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天高馬肥) 계절을 부르는 초대치고는 너무 혹독했다.

크고 작은 물 손님(태풍)들이 매년 이맘 때에는 어김없이 찾아오는데도 수해방지 대책은 늘 뒷북만 친다고 아우성이다.

'치수(治水)는 국가관리의 기본'이라는 것을 잊어버린 탓이다.

'여력이 있으면 틈틈이 준비하며 배우기를 게을리하지 말라'는 공자의 말씀이 이번에도 허사가 됐다.

우리 국민들처럼 평생학습을 소홀히 하는 나라도 없을 성 싶다.

35세 이상의 성인 가운데 평생학습기관에서 자기개발을 시도하는 비율은 고작 3%다.

이는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속하는 수치다.

미국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 국민들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평균 20%를 웃돈다.

그런데 우리 국민 40%는 '여가가 생기면 텔레비전이나 보겠다'는 반응이다.

앞으로는 직장마다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될 텐데,쉬는 날 국민들이 무엇을 하며 보내게 될 것인지 궁금하다.

'여가에 책을 읽는다'는 대학생은 10% 미만이고,대부분의 중·고교생들 또한 여가에 컴퓨터하며 보내겠다는 소식을 접하면 더욱 답답해진다.

이러면서 우리 교육의 '경쟁력'을 논하고,'삶의 질 향상'을 거론하니 헛헛하다.

우리 국민들은 '학습질환'을 앓고 있다고 본다.

초등학생은 물론 대학생들마저도 배우고 익히기를 체질적으로 게을리하고 있다는 증거가 한두개가 아니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책을 읽고 배우기를 싫어한다.

이 같은 학습질환은 학교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더욱 도지기 시작한다.

학습기피증을 이 사람 저 사람에게 옮겨놓는 세균이 바로 '대학입시'다.

학습질환에 전염되면서부터 사람들은 학교졸업을 자기학습에 대한 면죄부로 수용한다.

아예 졸업장을 학습기피를 위한 면허증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우리 청소년들은 물음표로 학교에 들어가서 마침표로 졸업을 한다.

하여간,어른 아이를 막론하고 우리 국민 중 약 30%정도가 '책 읽는 것이 싫을 뿐만 아니라 배우기가 습관이 되지 않아서 학습하기 괴롭다'는 반응을 보면 우리의 학습질환 증세는 아주 고질적이다.

이런 점에서는 기업인이나 공무원 혹은 전문직 종사자들도 예외가 아니다.

배우기와 읽기는 국가경쟁력의 온상이며 토대이기에,사회 곳곳이 '배움의 장'으로 열려 있어야 한다.

지식기반의 학습사회가 되려면 기업도 사회도 모두 '배움의 교실'이 돼야 한다.

그렇지만 우리기업이나 공무원사회 교수사회는 서구사회의 학습조직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서구기업의 책임자들은 한달 평균 7백여쪽을 읽는다.

1년이면 20여권의 책을 읽고 소화해내는 독서 마니아들이 바로 그들이다.

우리의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석달에 평균 1백쪽정도를 들여다 보고 있다.

'책맹(冊盲)'과 엇비슷한 수준이다.

그래서 우리의 기업 간부들은 저들의 '파워 독서력'에 숨이 가쁘기만 하다.

이런 학습기피증은 대학사회도 예외가 아니다.

'책을 가장 읽지 않는 전문직종 중의 하나가 교수직'이라는 어느 여론조사의 지적에는 가슴이 뜨끔해진다.

언론에 공개되지는 않았지만,교수들 중 60%정도가 한햇동안 전공도서 이외의 책을 한권도 읽지 않는 실정이다.

전공영역이라고 해도 연간 평균 5권 이상을 읽지 않은 교수도 수두룩하다.

고위 행정보직자들일수록 책과 거리가 멀다는 대목에 이르면 한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보고서 저런 공문,이런 신문기사 저런 글들마저 읽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겠지만,교수로서 계면쩍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래서일까 '존경하는 교수가 없다'고 응답한 대학생들이 10명 중 7명이나 된다고 한다.

원래 천고마비의 계절은 독서의 계절이 아니다.

위험과 재난을 대비해야 하는 계절이다.

말이 살찌기 시작하면 북방 오랑캐들이 어김없이 우리 땅에 쳐들어 올 것인 즉 그에 잘 대비하라는 뜻에서 만들어진 고사성어가 바로 천고마비라는 말이기에 하는 소리이다.

천고마비 계절을 맞이하려면 그 다음의 절기맞이를 준비해둬야 한다.

제대로 된 사람에게 독서와 배우기는 천고마비 계절에만 하는 '이벤트'가 아니라 매일 밥 먹듯이 하는 '일상적인 일'이어야 한다.

john@yonsei.ac.k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28 공지 안녕하세요^^ 2 고은숙 2008.04.09 1244
2727 공지 [공지] 오늘 (4/18, 금) 뇌과학모임 있습니다. 1 이정원 2008.04.18 1245
2726 공지 연주회에 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3 허정인 2007.12.22 1246
2725 공지 뇌과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5 엄준호 2008.01.29 1246
2724 공지 안녕하세요 처음뵙겠습니다 ^^ 6 박영수 2008.07.31 1246
2723 공지 안녕하세요!! 5 서윤영 2008.09.05 1246
2722 공지 오랜만입니다. 7 file 김용전 2008.03.08 1247
2721 공지 [독서산행] 주의사항 알림. 이진석 2008.01.04 1248
2720 공지 반갑습니다..가입인사 드립니다. 4 장현도 2008.04.28 1248
2719 공지 목련 1 이기두 2008.07.13 1249
2718 공지 [현장스케치] 현대음악사 (139회) 3 이정원 2008.04.10 1250
2717 공지 워크샵을 위한 후원금 - 감사합니다. 2 송윤호 2008.03.26 1251
2716 공지 Naked Eye Comet Holmes 3 박문호 2007.11.17 1252
2715 공지 이동훤 회원님의 독후감 게시판 활동 사례 1 이정원 2008.03.17 1252
2714 공지 안녕하세요 처음 글 남겨봅니다. 5 조두연 2008.04.02 1252
2713 공지 가입인사 올립니다^^ 2 유지연 2008.04.26 1252
2712 공지 책읽기를 즐겁게 하는 말 1 이동선 2008.04.04 1253
2711 공지 반갑습니다. 환영 부탁드립니다. 4 오종진 2008.07.30 1253
2710 공지 천.상.열.차.분.야.지.도. 4 박문호 2008.04.08 1254
2709 공지 BLUE BEAUTY 9 file 류우정 2008.04.10 12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