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3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

?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에서 김홍표 교수님은

과학적 사실의 발견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 생물학 교과서에 대한 아쉬움과 안타까움에서

?

과학의 ‘역사‘를 같이 공부하고 있는가?

?

과학자들이 진정 과학을 하고 있는가?

?

무조건 외우고 정보를 축적하는 것이 과학 공부인가?

?

왜 질문을 못하게 되었는가? ‘호기심의 연약함‘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가?

?

라는 화두를 던집니다.

그러면서 과학하는 마음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열린 마음과 회의주의적 태도로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과 그 토대를 쌓은 과학자들이 ‘가장 먼저 증명하기 위해서’ 어떻게 탐구를 했는지, 과학자들의 과학적 연구를 향한 열정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

“생명이란 쉴 곳을 찾고 있는 전자일 뿐이다‘라는 센트죄르지의 말을 책 전반에 걸쳐 소개하면서 주제는 크게 혈액형, 적혈구, 콜레스트롤, 비타민, 미토콘드리아, 질소, 산소, 광합성과 크렙스회로의 개념을 설명하지만 핵심은 발견의 역사 과정에서 ‘가장 먼저 증명’하기 위해 노벨상수상자들과 토대를 쌓은 과학자들이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어떻게 질문하고 답했는지 그 치열한 레이스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

그러면서 생명이란 세포--분자--원자--전자의 4층위에서 이루어지는 세포생물학의 단계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진화,기원, 발견의 역사를 종합해서 봐야 제대로 볼 수 있음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원자에서 생명에 이르는 모든 존재가 많은 단서와 역사를 간직하고 질문하기를 기다리고 있다 면서, 아는 즐거움은 우리의 기쁨 보상회로를 최대치로 끌어올리기에, 공부 하는 즐거움에 대한 뇌과학의 근거에 대해서도 이야기합니다.

?

서문에서 열린 자세와 회의주의적 태도로 과학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다가 책 결론 부분에서는 모든 사람이 성인이 되어서도 끊임없는 호기심을 가지지 않는다는 사실. 즉 ‘호기심의 연약함’과 질문이 사라지고 있는 안타까움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호기심을 억누르는 권위와 사회적 장치, 문화에도 신경써야 하지만 질문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공부하는 즐거움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

“사실 우리의 뇌에 들어 잇는 수천만 개의 신경세포는 돌기를 뻗어 약 1000개의 세포와 교신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신경세포가 자주 외출하는 길목에 잔디가 파이듯 길이 나게 될 것이다. 어렵게 배웠을 때 더 잘 배운다는 심리학계의 실험 결과와 일치한다.

우리의 뇌의 신경세포는 호기심이 촉발하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조금은 힘들고 반복적인 지식의 근육 운동을 거쳐 비로소 지식으로 체화하는 역사적 과정을 거쳤다. 우리의 유전자에는 호기심을 지식으로 전화시키면서 재미있거나 행복해하는 보상 체계가 아로 새겨져 있는 것이다.“

?

제가 이런 인식의 넓이와 깊이를 위해서 공부하는 이유이기에 더 더욱 가슴에 와 닿는 글입니다. -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중에서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 자연과학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김영사, 2015) 2 고원용 2015.10.03 6439
36 자연과학 <최초의3분>을 읽고. 박희경 2009.02.27 4194
35 자연과학 "아윈슈타인이 직접 쓴 물리이야기"를 읽고 6 표태수 2009.07.01 3797
34 자연과학 최초의 3분 1 조태윤 2009.02.13 3569
33 자연과학 뇌 생각의 출현 - 박문호 6 손진경 2009.07.19 3568
32 자연과학 콘서트를 제목에 활용한 책들 정만서 2011.07.04 3347
31 자연과학 <빅뱅>을 읽고 1 최선희 2009.03.05 3215
30 자연과학 [문학일기 6] 엉클 텅스텐/ 올리버 색스/ 바다출판사 file 정광모 2010.11.30 3152
29 자연과학 어느 천재 정신분석가의 삶 3 김갑중 2009.06.23 3122
28 자연과학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을 읽고 4 신동찬 2010.03.22 3111
27 자연과학 마음의 기원을 읽고 2 최선희 2009.02.13 3077
26 자연과학 기억을 찾아서 3 이대건 2009.11.27 2970
25 자연과학 '나쁜 유전자'를 읽고((바버라 오클리, 살림출판사) 2 정인성 2009.04.29 2954
24 자연과학 산소같은 여자라구? 그럼, 전자를 조심하라구! 5 신호순 2010.07.03 2935
23 자연과학 한 권으로 충분한 양자론 김양겸 2010.10.16 2932
22 자연과학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 마이클 셔머 1 조태윤 2009.08.03 2931
21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을 읽고 3 신동찬 2009.10.11 2913
20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신동찬 2010.03.06 2857
19 자연과학 <마음의 기원>과 <이타적 유전자>로 읽는 영화 <마더> 4 file 정인성 2009.06.12 2822
18 자연과학 내가 듣고 싶은 과학교실 조태윤 2009.02.03 2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