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자연과학
2010.03.06 22:18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조회 수 28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옛 지층과 거기에 파묻힌 화석 탐사에 노고를 아끼지 않는데다가 알아듣기 쉽고 유려한 글을 쓸 줄 아는 고생물학자에게 찬사를 보낸다. 생명의 역사를 다루는 그의 능력은 감탄을 자아내고 생명의 계통이나 지구환경변화에 대하여는 의견이 분분한 여러 가설들을 편협되지 않게 설명해주는데서 감명받는다. 

 사실 이 글을 남기는 것은 책을 읽은 후 하나의 느낌을 적어두고 싶어서이다.  이런 느낌은 개인적이고  편협하기까지 해서 책의 저자와 대조된다. 
 생물은 어떻게 생겨났든, 그것은 생존과 번식을 한다. 
 생존과 번식은 환경과 그 변화에 적합할 때만 이루어진다.
 생물 각각의 기관들과 부속물- 껍데기, 눈, 코, 턱, 이빨, 가시, 소화기관 등-은 그것들이 생겨날 당시와 그 이후의 환경에서 효용이 있으면(그것을 가진 생물의 생존율을 높여주면) 진화하고 그렇지 않으면 퇴화한다. 
 뇌는 각각의 기관들을 (일종의)통합하는 기능을 한다. 뇌 또한 환경 안에서 개체의 생존과 번식에 효용이 있으므로 진화되었다.
 결국 뇌의 생물학적 기본 기능은 각 기관의 통합에 있고 그런 통합은 거의 자율적으로(인식이나 생각없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인간에게 뇌가 있기만 하면 굳이 생각하지 않아도 생존과 번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식이란 뇌 기능의 과잉에서 생기는 잉여생산물인가.
 휴머니즘이란 감정의 과잉에서 오는 잉여생산물의 다른 이름인가.

 인간에게 사회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어쩌면 생각따윈 필요없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사회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인간은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인간 사회가 타 종과의 생존투쟁에서 그럭저럭 이겨나가기 시작하면서, 또는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인간의 뇌는 종 내의 번식투쟁(성 선택)에서 승리할 이점을 찾는 쪽으로 눈을 돌리게 될 것이다.

 최초의 인식이란 자기인식일 것이다. 그리고 타인에게 보여지는 나를 생각하고 타인과 나를 비교해서 성 선택의 유리한 유전 요소들이 번성할 것이다.


  1. '생명 최초의 30억년'을 읽고

    Date2010.03.06 Category자연과학 By신동찬 Views2857
    Read More
  2. '생명 40억년의 비밀'을 읽고

    Date2009.10.11 Category자연과학 By신동찬 Views2913
    Read More
  3.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을 읽고

    Date2010.03.22 Category자연과학 By신동찬 Views3111
    Read More
  4. '나쁜 유전자'를 읽고((바버라 오클리, 살림출판사)

    Date2009.04.29 Category자연과학 By정인성 Views2954
    Read More
  5.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김영사, 2015)

    Date2015.10.03 Category자연과학 By고원용 Views6439
    Read More
  6.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Date2017.06.20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244
    Read More
  7.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Date2017.06.20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369
    Read More
  8. <인간 존재의 의미>-에드워드 윌슨

    Date2016.09.30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557
    Read More
  9. <스핀> 이강영

    Date2018.02.01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772
    Read More
  10.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Date2017.07.14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1661
    Read More
  11. <생명에서 생명으로> 베른트 하인리희

    Date2017.01.01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1345
    Read More
  12. <불멸의 원자-이강영>를 읽고

    Date2016.08.09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912
    Read More
  13. <바이탈 퀘스쳔: 생명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Date2016.12.21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566
    Read More
  14.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김홍표

    Date2017.01.04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570
    Read More
  15. <맥스 태그마크의 라이프 3.0>

    Date2017.12.22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427
    Read More
  16.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김홍표

    Date2018.09.27 Category자연과학 By박용태 Views357
    Read More
  17. "아윈슈타인이 직접 쓴 물리이야기"를 읽고

    Date2009.07.01 Category자연과학 By표태수 Views379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