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8.05.02 08:22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조회 수 37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폭풍의 언덕-히스클리프와 힌들러, 언쇼를 생각하며......

 




잔인성은 바로 잔인한 대우를 받는데서 생긴다고 한다.
정신과 의사는 많은 환자들의 정신분석 치료 경험에 의하여 잔인한 어린이나 어른은 잔인한 대우를 받았던 것이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자녀들이 자기 문제의 해결을 제시해도 거기에 반응하지 않는 부모의 잔인성은 십대에게 매우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히스클리프는 언쇼의 집인 워더링 하이츠에 처음 왔을 때, 환영을 받기는 커녕 미움을 받았다. 언쇼의 부인은 그를 밖으로 던져버릴 기세였고, 특히 캐서린의 오빠인 힌들리는 그를 아주 싫어했다. 히스클리프의 잔인성은 이 때부터 싹트기 시작한 것이다.

힌들리가 히스클리프를 구박했지만 다행이 언쇼는 그를 애지중지했다. 그러나 언쇼의 행동은 어린 히스클리프를 더욱 버릇이 나쁘게 만들었다. 그 아이는 갖고 싶은 것은 아버지 언쇼에게 부탁하면 된다는 것을 쉽게 알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히스클리프나 힌들러는 서로의 관계를 개선할 방법을 알지 못했다. 당연히 그런 어린 나이에 서로를 위한 이해심과 너그러움은 찾기 어려웠을 것이다. 힌들리는 히스클리프를 괴롭히면서 자신을 방어할 방법을 찾았고, 히스크리프 또한 언쇼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언쇼가 힌들리와 히스클리프사이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한번쯤 고민해 보고 원만한 연결고리가 되었다면, 히스크리프의 잔인성은 시작될 수 없었다. 그러나 언쇼는 그러지 못했고 그의 건강은 서서히 악화되었다. 갑자기 기력이 쇠약해지면서 언쇼는 툭하면 짜증을 냈다. 그는 자신이 히스크리프를 사랑하기 때문에 모두가 그 아이를 미워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남은 가족들은 히스크리프가 원하는 걸 다 들어주었다. 그래서 그 아이는 더욱 거만해지고 심술궂게 변했다. 다만 힌들리만이 히스클리프의 말을 듣지 않았고, 그런 이유로 그는 언쇼의 화를 돋우었다. 언쇼는 힌들리를 때리려고 회초리를 들었다가 때리지 못할 때, 노여움으로 몸을 부들부들 떨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힌들리는 아버지 언쇼의 행동에 어떤 생각을 만들고 있었을까? '힘'의 제압하에서 헤어나지 못하면 깊은 패배의식에 빠져서 힘의 제물이 된다. 자기 자신을 열등시, 심지어는 저주하고 운명론에 피난처를 구하고 자기를 제압하여 제물로 만든 원수인 '힘'을 절대시하고 우상화한다.

아버지의 사랑을 받고 싶어했지만 오히려 아버지에게 화를 불러일으킨 존재가 된 힌들러. 그는 이런 환경의 힘에 제압당하고 만 것이다. 언쇼는 힌들러에 대해 너무 잔인했다. 힌들리는 아버지의 사랑을 독차지한 히스클리프를 학대할수록 패배의식에 깊이 빠졌고, 후에는 현실의 피난처로 도박에 빠져 폐인이 된다. 아버지의 사랑을 받지 못했다는 좌절감에 휩싸여 자신을 망가뜨리는 상태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쩌면 힌들리는 원수같은 존재인 히스클리프가 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다만 자기 파괴의 방식으로 표현이 되었을 뿐이다.

또한 히스클리프는 언쇼의 사랑을 받다가 그가 죽은 후 하인처럼 대우받는다. 그러던 중, 어린 히스클리프가 넬리에게 이런 말을 하게 된다. "힌들리에게 어떻게 복수하는 게 좋을까 생각 중이야.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상관없어. 내가 죽기 전에 그가 죽지만 않으면 좋겠어."



워더링 하이츠의 비극은 이렇게 시작한 것이라 보고 있다.
히스클리프는 힌들리에 대한 증오심과 에드거에게 받은 수치심, 좌절감으로 악마가 될 준비를 한 것이다.



폭풍의 언덕,

현대인과 노이로제,이동식 저, 한강수(272,276..)


  1. 죽은 열정에게 보내는 젊은 Googler의 편지

    Date2008.05.11 Category공지 By승건 Views4149
    Read More
  2. 로저 펜로스 "우주 양자 마음"

    Date2008.05.10 Category공지 By고원용 Views4677
    Read More
  3. <구들장의 독서일기1>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Date2008.05.09 Category공지 By류우정 Views3458
    Read More
  4. 폭풍의 언덕, 에밀리 브론테

    Date2008.05.02 Category공지 By장현도 Views3710
    Read More
  5. 시간의 놀라운 발견, 슈테판 클라인 지음, 웅진지식하우스,2007

    Date2008.04.28 Category공지 By장현도 Views3497
    Read More
  6. [42] 제레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Date2008.04.19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3496
    Read More
  7. [41] 김광규, '처음 만나던 때'

    Date2008.04.07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3093
    Read More
  8. [40] 제프리 크레임스, '7인의 베스트 CEO'

    Date2008.04.06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760
    Read More
  9.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를 읽으면서 - 2

    Date2008.04.01 Category공지 By신영호 Views3025
    Read More
  10. 교사가 본 '깨진 유리창의 법칙'

    Date2008.03.29 Category공지 By이나라 Views3281
    Read More
  11.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새뮤얼 이녹 스텀프, 제임스 피저 지음 이광래 옮김)을 읽으면서

    Date2008.03.25 Category공지 By신영호 Views2942
    Read More
  12. [39] 조용헌,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Date2008.03.22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780
    Read More
  13. [38] 스테판 M. 폴란&마크 레빈, '2막'

    Date2008.03.18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541
    Read More
  14. 의식의 기원-줄리언 제인스

    Date2008.03.18 Category공지 By임성혁 Views2716
    Read More
  15. HOW TO READ 데리다 (페넬로페 도이처 저, 변성찬 옮김) 를 읽으면서 - 1

    Date2008.03.17 Category공지 By신영호 Views2523
    Read More
  16. [56] 대한민국 진화론(이현정)

    Date2008.03.17 Category공지 By서윤경 Views2531
    Read More
  17. [37] 파울로 코엘료, '연금술사'

    Date2008.03.13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896
    Read More
  18. [36] 에드워드 드 보노, '생각이 솔솔~ 여섯 색깔 모자'와 '행동이 척척!! 여섯 색깔 신발'

    Date2008.03.12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673
    Read More
  19. [35] 앨런 홉슨, '꿈 (Dreaming)'

    Date2008.03.08 Category공지 By이동훤 Views2537
    Read More
  20. <신의 방정식>을 만난 날.

    Date2008.03.04 Category공지 By임석희 Views315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