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7.11.30 20:34

만들어진 신

조회 수 2677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번쯤 신은 혹시 “상상속의 그대”는 아닐까 하고 의심해 본적 있을 거다. 하루종일 교회에서 사는 광팬들부터 교회를 사교장으로 아는 모조 유신론자들까지도 신의 존재에 대해 고민해봤으리라 생각된다. 단지 고민의 문제인지, 아니면 허무하게도 관념과 두려움으로 정교하게 빚어진 허상인지 말이다.




선하게 살아야 한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지만, 이 우주가 신의 작품이라고 하기엔 참으로 미심쩍기 이를 데 없으며, 신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황당한 일들을 받아들이기엔 논리적으로 이해 안되는 어정쩡한 사람인 나는, 저자의 정의대로라면 불가지론자인지, 회의론자 중간 어디쯤에 서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속이 미식거릴때는 깔끔한 김치가 최고 이듯이 혼란한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선 명쾌한 책이 도움이 되었던 기억에 의존해 반가운 마음에 읽기 시작했고, 반쯤 읽었다.^^ 




생물학자인 저자는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들과 수많은 저서를 통해 종교인들의 비논리성과 억지의 사례를 잘 기술했다. 과학적으로도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신의 영역이라고 주장하거나, “니들이 게맛을 알아?” 가 아니고 “ 니들이 신을 알아?”는 식으로 신학자가 아니면 이해할 수도 논의할 자격도 없다고 토론의 문을 닫아 버리는 행태에 대해 여러 가지 모양으로 설명했다. 나 자신도 성경을 읽어봐도, 목사님들과의 대화에서도 반복해서 들어왔던 부분이었다.  ‘이해가 안되니 종교다’ ‘이해하려 하지마라’ ‘무조건 믿는 것이 진짜 신앙인이다.’ 등등등.

다른 사람들도 이런 식의 협박(?)을 강요받았을까? 궁금해졌다.



그렇다면 비과학적인 종교 논리가 왜 이리 오래도록 약발이 받는 건가? 과학자가 아니라서? 지능이나 교육을 덜 받아서? 저자는 교육수준과 유신론자 비율을 비교하였다. 일리가 있는 이야기이지만, 교육수준보다 각성의 수준이 아닐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천국에 대한 소망이나 신을 위한 희생으로 손바닥을 확 뒤집게 하는 종교는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과학적 논리와 이성적인 판단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기엔 세상 만사가 참으로 모호함의 투성이고, 머리아프다. 웬만한 참을성과 내공이 아니면 이 모호함을 견디기란 어렵다. 모호함에 머리를 갸우뚱 거릴때, 발빠른 전도사들은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눈 세 개달린 사람들의 왕국에서 눈 두개 짜리는 왕따다. 유신론자들이 숫적으로 적다해도, 유신론자들이 지배계급에 있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소수의 유신론자들이 종교를 지배의 철학으로 사용하는 나라에서 무신론자나 불가지론자로 산다는 것은 불행을 자초하는 일이 된다.



미국의 중남부 지역은 소위 “Baptism(침례교)”가 우세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의 압승을 담보해주는 곳이기도 하다. 몇 년 전 이 동네에서 살 때 우연히 들른 교회의 담벼락에 커다랗게 걸어놓은 플랭카드가 인상적이었다. “We play for Bush"

한국교회에서 이명박 후보를 대놓고 지지하는 것과 무쟈게 닮았다. ^^



‘과학적이다’라는 표현이 ‘옳다“와 동의가 될 수는 없다. 과학이 정치세력을 위해 일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창조론이 진화론을 공격하는 무기인 기적 따위들을 시원하게 설명해주는 날이 오기를 기다려본다. 그리고, 저자와 같은 용감무쌍하고 지적인 과학자들이 많이 나오길 바래본다.


Who's 김미희

?
Love, Learn & Share
Prev 믿음의 엔진 믿음의 엔진 2007.12.02by 조동환 "생각의 탄생" 독후감 Next "생각의 탄생" 독후감 2007.11.14by 김미희
  • ?
    이정원 2007.11.30 20:34
    좋은 독후감 감사합니다.
    아직 반쯤 읽으셨다는데 다 읽고나면 독후감 내용이 달라질까요? ^^
  • ?
    이상수 2007.11.30 20:34
    아주 시원 시원하게 쓰시네요. ㅋㅋㅋ
  • ?
    윤성중 2007.11.30 20:34
    ^^ 제 얼굴에도 눈이 하나 더 생기려고 해서 큰일입니다....
  • ?
    김미희 2007.11.30 20:34
    하나는 감으면 될 듯...^^
  • ?
    김미희 2007.11.30 20:34
    다시 읽어보니. 오짜가 있네요. ^^
    "We play for Bush" 가 아니고, "We pray for Bush"인데...^^
    하지만 두 문장이 참 닮았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8 공지 <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셰이크 모하메드와 학습조직 2 문경수 2007.12.03 2658
1057 공지 믿음의 엔진 조동환 2007.12.02 2363
» 공지 만들어진 신 5 김미희 2007.11.30 2677
1055 공지 "생각의 탄생" 독후감 4 김미희 2007.11.14 4003
1054 공지 <열하광인> 문체반정, 정조의 본심은? 4 이정원 2007.11.13 3166
1053 공지 생각의 탄생 1 조윤정 2007.11.13 2653
1052 공지 열하.. 4 전지숙 2007.11.12 2426
1051 공지 관리자님 삭제해 주세요. 1 신영호 2007.11.12 2455
1050 공지 열하광인 조동환 2007.11.12 2427
1049 공지 아틀라스 중국사 - 박한재 외 4명 1 양경화 2007.11.11 2934
1048 공지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3 윤성중 2007.10.22 2737
1047 공지 뇌와 기억, 그리고 신념의 형성 1 이재우 2007.10.22 2977
1046 공지 일본인과 천황 - 가리야 데쓰 글, 슈가 사토 그림 2 양경화 2007.10.20 2876
1045 공지 과학으로 생각한다 2 윤성중 2007.10.19 3097
1044 공지 실크로드 문명기행 - 정수일 6 양경화 2007.10.16 3077
1043 공지 싸이코가 뜬다 1 윤성중 2007.10.14 2806
1042 공지 도덕교육의 파시즘 1 윤성중 2007.10.11 2827
1041 공지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1 조윤정 2007.10.10 2971
1040 공지 부자가 되는 뇌의 비밀 -유상우- (21세기북스) 3 이재우 2007.10.08 3411
1039 공지 왜 공공미술인가 윤성중 2007.10.02 27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