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7.11.13 02:53

생각의 탄생

조회 수 265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오랫만에 두툼한 책을 읽어본다

솔직히 처음엔 읽기 전부터 부담이 많이 갔고

실제로 2주정도 시간이 걸렸다.

 

통합적 사고를 요하는 요즘 사회를 살기 위해 필요한 사고 방법이라 해야할까?

 

고등학교때 대입시험인 수능을 준비하면서 통합적 사고를 요하는 시험으로 변경됐다고 한참 시끄러웠다. 하지만 체감하진 못했다.

 

이 책은 상상력을 학습하는 생각의 도구 13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관찰, 형상화, 추상, 패턴인식, 패턴형성, 유추, 몸으로 생각하기, 감정이입, 차원적 사고, 모형만들기, 놀이, 변형, 통합으로 나뉘어져있다.

 

  3편의 추상화 편은 복잡한 현실 문제를 추리고 추려서 간단하게 핵심만 볼 수 있는 눈을 키워주는 힘이 있었다. 보고서나 레포트도 10장 쉽지만 10문장으로 요약하라면 어렵다.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핵심적인 본질을 볼 수 있다는점 큰 힘이라 생각한다.

  6편의 유추편 에서는 유추란 단순한 유사성을 드러내서가 아니라 추상적 기능 간의 드러나지 않는 관계를 보여준다는것이다. 예를들어 뉴턴이 발견한 "중력의 법칙"은 사과를 땅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면 이 힘이 하늘 위로 계속 뻗쳐나갈 것이고 그렇게되면 달까지 끌어당길 것이라고 유추 했던 것이었고, 병원에서 상처를 봉합하는 데 쓰이는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원시부족민들이 무는 개미를 이용해 착안한 물건 모두 유추에서 비롯된 것이다.

 11편 놀이 편은 결과를 따질 필요도 의무적 시행도 필요없으므로 우리에게 본능적인 느낌과 정서, 쾌락을 선하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놀이를 지식으로 변형시키고, 이를 통한 새로운 과학과 예술이 가능한것이다. 일례로 젊은 나이에 명성을 얻은 리처드 파인만은 접시의 흔들림을 보고 그것에 대한 방정식을 만든후, 상대성이론, 전기역학, 양자 전기역학을 파고 들어 노벨상을 받았다.

 

 너무나 좋은 내용들이 많았다.

책을 다 읽긴 했어도 반정도도 이해하지 못한것 같다.

각 챕터를 보면서 좀 집중해서 다시 한번 봐야될 책인것 같다.

 

 
  • ?
    전지숙 2007.11.13 02:53
    생각으 탄생..
    읽소싶지만 그져 책의 두께에 눌려 짝사랑중입니다.
    저도 꼭 읽고 윤정님처럼 생각하는 시간이 오겠지요?

  1. <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셰이크 모하메드와 학습조직

  2. 믿음의 엔진

  3. 만들어진 신

  4. "생각의 탄생" 독후감

  5. <열하광인> 문체반정, 정조의 본심은?

  6. 생각의 탄생

  7. 열하..

  8. 관리자님 삭제해 주세요.

  9. 열하광인

  10. 아틀라스 중국사 - 박한재 외 4명

  11.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12. 뇌와 기억, 그리고 신념의 형성

  13. 일본인과 천황 - 가리야 데쓰 글, 슈가 사토 그림

  14. 과학으로 생각한다

  15. 실크로드 문명기행 - 정수일

  16. 싸이코가 뜬다

  17. 도덕교육의 파시즘

  18.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19. 부자가 되는 뇌의 비밀 -유상우- (21세기북스)

  20. 왜 공공미술인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