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97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신념이란 확실한 증거 없이 어떤 것의 존재나 진실에 대해 확신을 가지는 것이다 라고 웹스터 사전은 정의 내린다. 신념이 증명할 수 없는 주장의 진실에 관한 주관적 확신이라고 한다면 기억은 신념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무언가를 믿는다는 것은 어떤 대상에 대한 확신이기 때문에 그 대상을 가지고 있는 매개체는 기억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해를 돕고자 지식과 신념을 비교하면 지식이란 끊임없이 경험에 의해 교정되는 수정과 갱신을 거치는 기억의 한 형태이지만, 신념은 경험에 의해 교정되는 것에 저항하는 경향을 보이는 또 다른 형태의 기억이다.


 


신념은 지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가 무언가를 본다는 것은 시각을 통해 전해진 정보를 해석해내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고, 일정 부분은 우리 마음의 판단에 따라 인지를 하게 된다. 지각은 부분적으로 사전지식의 기능이라는 말이다. 기억의 한 형태로 일컬어지는 사전지식은 흔히 신념으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지각과 신념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까그라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는 자신의 부모, 자식, 배우자, 형제 등과 같이 가까운 사람들을 가짜로 본다. 환자는 엄마가 매우 닮았지만 혹은 똑같이 생겼지만 진짜 엄마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는 얼굴 부위에 관한 정보를 담당하는 곳에서 올바른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기인한다. 어머니의 얼굴에서 풍기는 따뜻함이 제대로 인지되지 못함으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문제가 된 것은 시각과 감정사이의 전달이다. 감정을 관장하는 변연계의 관문은 편도체이다. 편도체로 연결되는 청각피질과 시각피질은 그 형태가 다르다고 한다. 이는 우리에게 무언가를 본다는 상황이 인지된다는 것은 그것 자체에 우리의 감정이 녹아 든 주관적인 행동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사람은 현재 자신의 감정에 기반을 두고 과거의 감정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를 달리 말하면 현재 자신을 지배하고 있는 신념에 맞추어 기억이 재구성되어 왜곡되는 상황이 충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런 왜곡된 기억이 또 다른 신념을 만들고 그 기억이 또 다시 왜곡되고 그렇게 반복되며 끊임없이 일그러지고 있는 삶 속에 우린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Prev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2007.10.22by 윤성중 일본인과 천황 - 가리야 데쓰 글, 슈가 사토 그림 Next 일본인과 천황 - 가리야 데쓰 글, 슈가 사토 그림 2007.10.20by 양경화
  • ?
    임성혁 2007.10.22 06:05
    마지막 네줄은 "도 모른다"가 아니라 "거의 그렇다"로 고쳐 써도 무방 하지 않을까 싶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8 공지 <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셰이크 모하메드와 학습조직 2 문경수 2007.12.03 2658
1057 공지 믿음의 엔진 조동환 2007.12.02 2363
1056 공지 만들어진 신 5 김미희 2007.11.30 2677
1055 공지 "생각의 탄생" 독후감 4 김미희 2007.11.14 4003
1054 공지 <열하광인> 문체반정, 정조의 본심은? 4 이정원 2007.11.13 3166
1053 공지 생각의 탄생 1 조윤정 2007.11.13 2653
1052 공지 열하.. 4 전지숙 2007.11.12 2426
1051 공지 관리자님 삭제해 주세요. 1 신영호 2007.11.12 2455
1050 공지 열하광인 조동환 2007.11.12 2427
1049 공지 아틀라스 중국사 - 박한재 외 4명 1 양경화 2007.11.11 2934
1048 공지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3 윤성중 2007.10.22 2737
» 공지 뇌와 기억, 그리고 신념의 형성 1 이재우 2007.10.22 2977
1046 공지 일본인과 천황 - 가리야 데쓰 글, 슈가 사토 그림 2 양경화 2007.10.20 2876
1045 공지 과학으로 생각한다 2 윤성중 2007.10.19 3097
1044 공지 실크로드 문명기행 - 정수일 6 양경화 2007.10.16 3077
1043 공지 싸이코가 뜬다 1 윤성중 2007.10.14 2806
1042 공지 도덕교육의 파시즘 1 윤성중 2007.10.11 2827
1041 공지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1 조윤정 2007.10.10 2971
1040 공지 부자가 되는 뇌의 비밀 -유상우- (21세기북스) 3 이재우 2007.10.08 3411
1039 공지 왜 공공미술인가 윤성중 2007.10.02 27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