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7.10.16 05:38

실크로드 문명기행 - 정수일

조회 수 3077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 달이 넘게 이 책을 붙잡고 있었다. 일을 많이 했고 매일 단잠을 잤다. 짬짬이 만화책 시리즈와 몇 권의 책을 봤지만 생각의 중심은 항상 이 책에 있었다. 저자가 실크로드를 답사하는데 40일이 걸렸는데, 난 읽는데 그만큼의 시간이 걸린 셈이다. 그다지 두껍지도 않고 어렵지도 않은 책이지만, 저자가 보고 듣고 조사한 것을 상상하기 위해선 다른 여행기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쏟아야했다.





저자 정수일은 세상에 파다했던 간첩 사건과 특이한 학벌, 경력으로 유명한 사람이다. 그가 간첩이었든 아니었든 간에, 머나먼 이국땅에서 우리나라의 흔적을 찾아내고자 하는 열정과 애정은 이 땅의 누구보다 덜하지 않을 것 같다. 그의 진솔함과 따뜻함이 매 편의 끝에 잔잔한 여운을 남겼다.


한겨레신문사에서 기획한 이 문명기행에는 기자단과 정수일 교수가 참여했다. 그들은 2005년 여름, 40일 동안 북경에서부터 이스탄불까지 38개 지역을 거치며 인류 문명의 자취를 헤아리고자 했다. 이 기행문은 한겨레신문에 연재되었다고 한다.





<실크로드의 악마들>에서 저자 피터 홉커스가 ‘마지막 남아 있던 신비와 낭만은 실크로드와 함께 영영 역사의 뒤안으로 사라져버렸다’고 결론내린 것과는 달리 정수일 교수는 이 길은 ‘신 오아시스로’ 혹은 ‘뉴 실크로드’로 부활하고 있다고 글을 맺었다.


그가 본 실크로드는 모래 속에 파묻힌 죽은 길이 아니었다. 타클라마칸 사막에 도로가 깔리고, 생명을 찾아보기 어려운 삭막한 벌판에서 운치 있는 식사를 한다. 사막 위로 관개를 하여 나무를 심고 농사를 짓는다. 오아시스 도시를 따라 사람들은 쉴 새 없이 왕래하고 무역하며 관광을 하고 있다. 저자는 혹독한 자연환경 속에서 인류가 만들어 낸 질곡의 역사, 그리고 그 역사가 낳은 문화를 보며 감복해마지 않았다.





저자는 실크로드를 따라가며 보고 들었던 많은 이야기들을 하고 있지만, 결국 그는 인류의 ‘희망’을 말하고자 하는 것 같다. 세계의 정치 문제가 아무리 복잡해도 이 땅 위에는 생존하기 위해 신체적, 지적 활동을 멈추지 않는 인류들이 존재한다. 그 혹독한 사막과 험난한 산 위에도 인류들이 오가고 있다. 그 길의 흔적이 바로 문명의 길이고 실크로드이지 않겠는가.





작은 자극에도 쉽게 물러 터지는 살. 그리고 이 살을 지탱해 주는 작은 뼛조각들. 이 나약한 것들을 가지고 살이 녹아들듯이 뜨거운 곳에서, 두개골이 쪼개질 듯이 추운 곳에서 생명을 이어가는 인류들이 있다는 것은 실로 감동적인 일이다.


인류는 끊임없이 활동하며 끊임없이 창조하고 끊임없이 소모한다. 어디에서나, 어느 때에도 우리는 멈추지 않고 생명을 이어나갈 것이다. 우리는 이렇게 살아가며 이 땅 위에 우리의 문명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오늘 하루, 나의 생존의 이유는 더 이상 논할 필요도 없다. 모든 허무는 생명 앞에선 설 자리가 없다.





1200년 전, 눈물을 뿌리며 차가운 파미르 고원을 넘어갔던 혜초를 그리며 그의 발자취를 따라갈 날을 기원해본다.

  • ?
    이정원 2007.10.16 05:38
    언젠가 정수일 선생님과 실크로드, 페르시아 기행을 하려고 생각중입니다.
  • ?
    이상수 2007.10.16 05:38
    양경화님 글의 단어, 단어들은 언제나 생동감이 넘쳐 흐릅니다. 그것은 문장속에서 더욱 빛을 발하고 그 의미들이 저를 상상으로 떠나 보냅니다. 그 상상속은 허허벌판에 홀로 서있을 때가 많으며 제 자신의 존재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끔 합니다.

    "작은 자극에도 쉽게 물러 터지는 살. 그리고 이 살을 지탱해 주는 작은 뼛조각들. 이 나약한 것들을 가지고 살이 녹아들듯이 뜨거운 곳에서, 두개골이 쪼개질 듯이 추운 곳에서 생명을 이어가는 인류들이 있다는 것은 실로 감동적인 일이다."

    너무 마음에 드는 부분입니다. 게을러진 마음으로 책을 가까이 하지 못하고 있는데 양경화님 글로 인해서 마음이 동하긴 하는데 행동으로 옮겨질지 모르겠습니다. 오늘은 그 어느때 보다도 지친 하루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어쨌든 좋은 독후감을 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이재우 2007.10.16 05:38
    끊임없이 활동하며, 창조하고, 소모하지 못하는 저를 되돌아보며 반성하게 만드는 글 잘 읽었습니다.
  • ?
    임성혁 2007.10.16 05:38
    어둑한 저녁 즈음에 파리의 드골 공항을 날아 올라서 에펠탑을 뒤로 하고 그 옛날 전설의 영웅들이 맨발로 넘었던 알프스산맥 위를 넘어 귀국하는 밤길에...보았습니다.한 순간도 끈임 없이 이어져 있는 불빛들...사람이 살고 있다는 증거들로 불빛들이 모래알처럼 뿌려져 있는데...놀라운것은 한국에 도착 할때까지 8시간 동안 불빛이 끊이지 않아서 꼬박 뜬눈으로 바라보며 귀국 했었습니다.다시 걸어서 가고 싶습니다.그 사람들을 만나보며 터어키에서 유럽을 잇는 보스프러스 해협을 건너는 다리로 파리로 걸어 들어 가고 싶네요.
  • ?
    임석희 2007.10.16 05:38
    정수일 선생님의 실크로드 기행 뿐만이 아니라, 터키와 그리스를 소개하는 책자도 일품이지요. 책을 읽고 나면, 내가 무언가를 해 보고 싶다는 강한 충동을 받곤 하는데, 정수일님의 책을 읽고, 내 눈으로 그리스, 산토리니를 직접 가서 그 파아란 바다와 하늘과 흰 벽과 빨간 노을을 확인하고 싶단 생각이 들곤 했지요. 감상문 잘 읽고 갑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아차, 보스포러스 해협... 거기두 정말 파아~~~래요. 지금까지 제가 본 곳 중에서(몇 곳 없지만^^) 가장 파란, 코발트색 바다.. 였어요. 동서양의 1000년전 분위기를 한자리에서 만끽할 수 있는 정말 아름다운!!!
  • ?
    임석희 2007.10.16 05:38
    정수일 선생님의 실크로드 기행 뿐만이 아니라, 터키와 그리스를 소개하는 책자도 일품이지요. 책을 읽고 나면, 내가 무언가를 해 보고 싶다는 강한 충동을 받곤 하는데, 정수일님의 책을 읽고, 내 눈으로 그리스, 산토리니를 직접 가서 그 파아란 바다와 하늘과 흰 벽과 빨간 노을을 확인하고 싶단 생각이 들곤 했지요. 감상문 잘 읽고 갑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아차, 보스포러스 해협... 거기두 정말 파아~~~래요. 지금까지 제가 본 곳 중에서(몇 곳 없지만^^) 가장 파란, 코발트색 바다.. 였어요. 동서양의 1000년전 분위기를 한자리에서 만끽할 수 있는 정말 아름다운!!!

    이정원님! 실크로드 기행... 성립되면, 꼭~~~ 불러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8 공지 <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셰이크 모하메드와 학습조직 2 문경수 2007.12.03 2658
1057 공지 믿음의 엔진 조동환 2007.12.02 2363
1056 공지 만들어진 신 5 김미희 2007.11.30 2677
1055 공지 "생각의 탄생" 독후감 4 김미희 2007.11.14 4003
1054 공지 <열하광인> 문체반정, 정조의 본심은? 4 이정원 2007.11.13 3166
1053 공지 생각의 탄생 1 조윤정 2007.11.13 2653
1052 공지 열하.. 4 전지숙 2007.11.12 2426
1051 공지 관리자님 삭제해 주세요. 1 신영호 2007.11.12 2455
1050 공지 열하광인 조동환 2007.11.12 2427
1049 공지 아틀라스 중국사 - 박한재 외 4명 1 양경화 2007.11.11 2934
1048 공지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3 윤성중 2007.10.22 2737
1047 공지 뇌와 기억, 그리고 신념의 형성 1 이재우 2007.10.22 2977
1046 공지 일본인과 천황 - 가리야 데쓰 글, 슈가 사토 그림 2 양경화 2007.10.20 2876
1045 공지 과학으로 생각한다 2 윤성중 2007.10.19 3097
» 공지 실크로드 문명기행 - 정수일 6 양경화 2007.10.16 3077
1043 공지 싸이코가 뜬다 1 윤성중 2007.10.14 2806
1042 공지 도덕교육의 파시즘 1 윤성중 2007.10.11 2827
1041 공지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1 조윤정 2007.10.10 2971
1040 공지 부자가 되는 뇌의 비밀 -유상우- (21세기북스) 3 이재우 2007.10.08 3411
1039 공지 왜 공공미술인가 윤성중 2007.10.02 27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