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7.06.23 11:12

김병종의 모노 레터 - 김병종

조회 수 259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 모임에 화가가 오신다는 얘길 듣자, 전 순간적으로 김병종 화백을 떠올렸습니다. 인연이랄 것도 없지만, 그분으로 인해 제 삶이 변화된 계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며칠 전 김병종 화백이 새 책을 낸 게 있는지 찾아보다가 작년 12월에 출간된 <김병종의 모노레터>를 사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오래 전에 조선일보에 <화첩기행>이란 이름으로 연재한 것을 엮은 것이더군요. 그런데 바로 조금 전! 저는 깜짝 놀라고 말았습니다. 2000년 10월 신문에 실렸던 <진메마을서 만난 소년상> 이라는 그림이 이 책에  실려 있지 뭐예요? 얼마나 갖고 싶었던 그림이었는데!

                              

 


7년 전 그 날의 화첩기행은 김용택 시인 편이었습니다. 김병종 화백의 아름다운 글과 함께 이 그림이 아주 조그맣게 실려 있었습니다. 그림을 보자마자 전 소년의 얼굴에서 빛나는 완전무결한 순수에 감동하고 말았어요.


그림을 오려 컴퓨터에 붙여놓고는 하루 종일을 바라봤습니다. 그러다 참지 못하고 김병종 화백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요지는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난 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다, 이 그림을 보고 정말 감동했다, 내 아이들이 이렇게 순수하게 컸으면 한다, 그림을 팔든지 아님 하나 다시 그려 달라...


하하... 어이없죠? 전 그 때 김병종이란 사람에 대해서도, 그림에 대해서도 완전히 무지했어요.


 


그리고 한 열흘이 지나 전화를 한 통 받았습니다. 웃음이 배어있는 목소리였습니다.

“여기 서울이에요. 저 모르시겠어요? 김병종이예요!”


헉! 그 때부터 전 말더듬이가 되었죠. 어더더더....


그분의 요지는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다들 이 그림에 대해서는 좋단 말을 안하던데 안목이 뛰어나다, 편지받고 참 기뻤다, 애들은 몇 살이냐, 그림은 지금 바빠서 못 그려주니 방학 때나 되면...





그날부터 저의 ‘그림 기다리기’는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겨울방학이 끝나도, 1년, 2년이 지나도 안 오더군요. 그날 전화 끊고 좋아서 소리 지른걸 들은 동료들은 몇 년 동안이나 키득거리며 묻곤 했습니다. “아직 그림 안 왔어?”  저의 답변은 항상 의기양양했죠. “그분은 항상 바쁘시다구요!”





그렇다고 제가 기다리기만 한건 결코 아닙니다. 인생 대전환(?)이 시작되었죠. 마른 장작이 불씨 하나에 훨훨 타오르듯이, 일종의 예의성 멘트일지도 모를 ‘안목이 뛰어나다’는 한 마디에 소위 저의 예술혼(하하... 생각할수록 부끄럽기도 하고 우스워요)이 불타 올랐습니다.


전 세계의 그림들을 모으고, 김병종 화백에 관한 기사를 스크랩하고, 그분이 쓰신 모든 책을 사서 읽었습니다. 그리고 예술이니 그림이니 하는 책들을 보기 시작했어요. 월간 잡지를 구독하고, 끙끙거리면서 미술사를 공부하고, 심지어는 몇 달 동안이나 줄창 그림만 그렸습니다(물론 다 독학이죠. ㅋㅋ..).


결국에는 사직하고 미술사 공부를 하겠다고 입학서류를 준비하고, 대학과 장학금 문제 협의까지...


어떻게 됐냐구요? 포기했어요. 내가 과연 재능이 있나 하는 생각이 점점 커졌고, 애들이 좀 더 크고 나면 생각하라고 다들 뜯어 말렸거든요. 가끔, 그때 결심했다면 내 인생이 어떻게 바뀌었을까 생각하곤 합니다.





순식간에 달아오른 냄비는 식었지만, 소년상 그림까지 포기한 건 아니었습니다. 컴퓨터에 붙여 놓은 그 신문 쪼가리가 몇 년 후 없어져 버리자, 그 그림을 다시 보리라는 희망을 가지고 가끔씩 웹을 뒤졌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서점에서 <나의 생명이야기>를 뒤적이다가 글쎄, 그 그림을 발견한 것입니다! 오.... 김병종 화백은 이 그림을 다른 사람에게 팔아먹지 않은거야!


별로 관심 없는 책이지만 오직 그 조그만 그림을 가지고 싶다는 열망 하나에 책값을 지불했습니다. 책은 아직도 보지 않았는데... 뭐 그게 중요한가요?





아, 그런데, 방금, <김병종의 모노레터> 책에 이 그림이 한 페이지의 크기로(신문에선 겨우 증명사진 정도의 크기였습니다) 실려 있으니 놀라지 않았겠어요? 김용택 시인에 대한 글, 강둑의 배 그림 역시 7년 전 신문 그대로입니다.


 

여러분께 그림을 보여드리고 싶어서, 그리고 기쁨을 함께 하고 싶어서 우스꽝스런 제 과거를 이야기합니다. 이 그림을 계기로 시작된 뜨거움은 2년 정도 후에 식어버렸지만, 그 일을 계기로 제 삶은 예전과 다른 길로 접어들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멋모르고 덤볐던 그 시간동안 많이 읽고 배웠거든요.

 


김병종 화백이 그려준 것은 아니지만, 저는 오늘 진정으로 소년상을 얻은 기분입니다. 혹시, 그분이 저와의 옛 약속을 기억해서 이렇게 크게 실어준건 아닐까요? (하하.. 또 오버 시작이야) 


이러거나 저러거나, 정말 멋진 일이죠?





마지막으로, 여러분께 참으로 아름다운 책, 김병종의 화첩기행 1,2,3과 모노레터를 추천합니다.



 

  • ?
    이상수 2007.06.23 11:12
    양경화님 글을 보면서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웁니다. 요즘 일을 핑계로 한 2주간 운동을 못(안)했더니 마음이 엄청 흩트러지는 것을 느끼는데, 자꾸 한가지에 올인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순간 순간의 호기심은 자꾸 드는데 그것이 짧은 시간으로 끝나니 아무것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김병종 이라는 화백에 대해서 잠깐 찾아보고 이런 분도 있구나 하고 알게되었습니다. 그러나 '진메마을서 만난 소년상' 을 봐도 제 느낌은 움직이지 않으니 그것이 안타깝습니다. 항상 열심히 책을 읽으시고 좋은 독후감을 남겨 주시니 그런 모습에서 잠시 저를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정영옥 2007.06.23 11:12
    화첩기행..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아직도 구입을 못하고 있네요. 이글을 읽고나니 빨리 구입해서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추억이 가득한 책과 음악은 더 애정이 가는 법이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8 공지 꿈-앨런홉스 정청미 2004.07.24 1485
397 공지 꽃의 고요 _ 7 3 file 정영옥 2007.01.23 2087
396 공지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장미란 2004.05.27 2004
395 공지 김훈의 칼의 노래 file 김세영 2005.10.16 2099
394 공지 김훈은 김훈이고 싸이는 싸이다 한은정 2005.10.27 1752
» 공지 김병종의 모노 레터 - 김병종 2 양경화 2007.06.23 2592
392 공지 김민수의 문화디자인 윤성중 2007.08.22 2522
391 공지 길을 놓는 사람 신원식 2005.11.30 1650
390 공지 긴자 마담이 하는 이야기 성공하는 남자의 화술 김영환 2003.06.25 2473
389 공지 기획천재가 된 홍대리(051225) 최병관 2005.12.25 2761
388 공지 기획 천제가 된 홍대리 file 방지선 2004.11.18 1527
387 공지 기적의 두뇌 2 전동주 2008.10.29 3968
386 공지 기득권자와 아웃사이더 1 김미순 2007.01.13 2047
385 공지 기독교 죄악사 -상 1 file 조동환 2006.02.05 1705
384 공지 기도 고윤의 2005.01.27 1520
383 공지 긍정적인 말의 힘 2 이득재 2007.01.03 2206
382 공지 금강경강해 김영환 2003.06.25 2276
381 공지 그림같은 세상-황경신 지음 2 박선희 2008.08.26 3022
380 공지 그리스도교 대 이슬람 실패한 관계의 역사 1 이병록 2006.12.10 1976
379 공지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애거서 크리스티 정청미 2003.12.28 18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