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7.05.01 22:25

[23] 틱낫한, '화'

조회 수 2581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플럼빌리지에서의 수련.. 자각의 에너지를 키워 화의 에너지를 감싸안는다는 사고.. 마치 엄마가 아기를 안듯이 그리고 아기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 아기를 평안하게 할 수 있기 위해 오직 아기에게만 집중하는 것처럼.. 화를 껴안기 위해서, 이해하고 마음속의 씨앗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누구나 할 수 있는 그러한 수련 방법을 제시해주는 이 책 "화"는 가장 적절한 시기에 나를 찾아왔다.

 

틱낫한 스님이 말하고 있듯이 누구나 화를 내게 된다. 그것은 그의 비유를 빌리자면, 화의 씨앗에 물을 주게 되고 적절한 햇빛을 받게 해주는 등의 영향이 있으면 화는 또다시 우리 삶에 고개를 들고 나와 우리의 행동 결정에 관여하고 마음에 불유쾌한 흔적을 남기고 때론 사람에 따라서 주변에까지도 지우지 못하고 연속되는 것들을 생산해내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자연스러운 것일지언정 당연한 것은 아니다. 그가 말하듯이, 물을 주지 않으면 화는 발현되지 않는다. 물을 주지 않는 것이 어려울지라도 발생한 화를 아기를 안고 달래는 어머니의 모습처럼 그렇게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화의 에너지가 영향을 덜 주게 만들 수 있다. 그것을 이 책에서는 자각의 에너지를 키우는 것이라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최근의 스스로의 행동에서 얼마나 화를 내었는지, 그 화를 참았었는지 등을 생각해보면 '나도 평범한 사람들과 별반 다르지 않았구나!' 라는 부끄러움이 들었다. 하지만 그의 말처럼 그것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그 화를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었던 것이 부끄러운 것이라고 느꼈다.

 

다만 나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화를 내기를 싫어할 것이다. 때론 화가 날 수도 있지만 화를 내기 좋아해서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상황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다는 설명과 함께 자기 이해적으로 화를 내는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그럴 수 없을 것이다. 그가 언급한 것처럼, 화를 다스리는 것이 단지 화를 표현하는 것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점점 더 좁아지고 그만큼 더 많은 갈등이 일어나고 신경병과 같은 스트레스 받는 일이 자주 생기고 있다. 하지만 그럴수록 더 그 상황에 많는 대처방식을 익혀야겠다. 그것은 책의 초반에 나온 내용인, 손거울을 들고다니면서 자신의 얼굴표정을 살피는 일이다.

 

나의 어머니가 나에게 요새들어 많이 하시는 말씀이 표정을 밝게 하라는 것이다. 나는 내 표정을 거울을 통해서가 아니면 볼 수 없기 때문에, 그러기 위해서는 정말이지 손거울을 하나 챙겨야 할지도 모르겠다.

 

틱낫한 스님이 이 책을 쓴 이유가 더 밝은 세상, 남을 향해 한 번 더 웃을 수 있는 여유가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이 책의 마친다.
  • ?
    이상수 2007.05.01 22:25
    한달 열심히 운동하면 월말정도 되면 몸이 가뿐한게 아주 좋은 상태가 됩니다. 그러다가 폭음하는 날이면 다음날 한달동안 운동한 것이 모두 다 날아가는 듯 한 경험을 여러번 했습니다. 달라이라마의 행복론인가 어디선가 '화'가 그런 역할을 한다고 하더라구요. 모든 것을 앗아가는 역할 말입니다. 독후감을 읽다보니 달라이 라마가 생각나는군요.
  • ?
    강신철 2007.05.01 22:25
    '화'를 읽으셨군요. 이제 틱낫한 스님의 '힘'을 읽으세요. '화'를 에너지로 승화시켜 '힘'을 낼 줄 알아야 비로소 '화'를 진정으로 정복하게 됩니다.
  • ?
    정영옥 2007.05.01 22:25
    어떤 사람이 너무 미워지면 이책을 펼치고 천천히 들여다봅니다. 그러다보면 화가 조금씩 사그러들죠. 신기한일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8 공지 사랑을 위한 과학 -토머스 루이스, 패리 애미니, 리처드 래넌(김한영)- (사이언스 북스) 4 이재우 2007.06.15 2974
997 공지 '앎의 나무'를 읽고 5 엄준호 2007.06.07 3480
996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 -로돌포 R. 이나스(김미선)- (북센스) 2 이재우 2007.06.06 2737
995 공지 마이크로 코스모스 -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1 양경화 2007.06.06 3120
994 공지 On the Road - 박준 2 양경화 2007.06.06 2846
993 공지 몰입의 즐거움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2 정현경 2007.05.31 3800
992 공지 [29] 스티븐 샘플, '괴짜들의 리더십' 이동훤 2007.05.30 2720
991 공지 유뇌론(唯腦論) -요로 다케시(김석희)- (재인) 2 이재우 2007.05.25 2771
990 공지 [24] 김정동, '문학 속 우리 도시 기행' 이동훤 2007.05.23 2480
989 공지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 이유미 4 양경화 2007.05.20 3352
988 공지 생명이란 무엇인가 -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5 양경화 2007.05.17 4540
987 공지 항우와 유방 1,2,3(224-1) -시바료타로(양억관)- (달궁) 1 이재우 2007.05.14 2933
986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읽고 5 엄준호 2007.05.14 3516
985 공지 생명, 40억년의 비밀 - 리처드 포티 5 양경화 2007.05.12 3460
984 공지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224) -사이토 다카시(황혜숙)- (루비박스) 5 이재우 2007.05.10 3390
983 공지 신경심리학입문을 넘어 3 문경수 2007.05.05 2666
982 공지 '우주의 구조'를 읽고 4 엄준호 2007.05.02 4025
» 공지 [23] 틱낫한, '화' 3 이동훤 2007.05.01 2581
980 공지 면역의 의미론(223) -타다 토미오(황상익)- (한울) 1 이재우 2007.05.01 2498
979 공지 부의 미래(222) -앨빈 토플러- (청림출판) 3 이재우 2007.04.30 25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