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27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사람과 땅의 궁합
  • 이주향의 책 향기… 최창조의 ‘도시풍수’
  • 이주향 수원대교수·철학
    입력 : 2007.04.13 23:07





    • 모두 하늘이 열린 순연한 땅이었습니다. 아잔타도 그랬고, 엘로라도 그랬고, 카추라호도 그랬습니다. 내가 본 인도의 좋은 사원들은 그 순연한 땅의 기운을 믿어 신성한 제단을 쌓은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역시 평온하고 평온해서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축복의 땅은 나만의 땅일 수가 없습니다. ‘도시 풍수’(판미동)에서 최창조 선생은 이런 얘기를 하네요. 모두가 좋아하는 매력적인 사람은 나만의 사람이 되기 어렵듯이 모두가 좋아하는 땅은 독점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최창조 선생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땅이 참 사람을 닮았구나, 아니, 사람이 참 땅을 닮은 거였구나,하고 느끼게 됩니다. 당신이 버린 그가 누군가에겐 보배구슬이듯 그 누군가에게만 보배가 되는 땅이 있고, 누구에게나 좋은 사람이 없듯 누구에게나 의지처가 되는 땅은 없습니다. 그러고 보니 완전한 명당도 없지만 모두가 명당일 수 있는 거였습니다. 어린이들의 명당은 숨어서 세상을 엿보는 나무집이나 요새 혹은 동굴과 같은 곳입니다. 생각해보니 어렸을 적 좋아했던 곳인데, 그런 곳에서 어린이들은 안온함을 느끼며 억압되고 있는 심리를 정화한다는 군요. 생을 포기하는 자들의 명당도 있네요. 자살하는 사람들이 찾아가는 틀에 박힌 장소가 있지요? “바닷가 절벽 위의 자살바위, 한강대교의 교각 어느 지점, 고무신 벗어놓고 들어가는 저수지의 어느 지점. 그런 곳에 가보면 삶의 허망함, 어지럼증, 고통으로부터의 어긋한 탈출 등을 유도하는 느낌이 온다”고 합니다.

      사람과의 사이에서도 궁합이 있듯 땅과의 관계에서도 궁합이 있습니다. 긍정적인 사람은 “안온하면서도 기운이 서린 곳”을 좋아하고, 삶에 지친 사람은 차라리 망우리 공동묘지가 깊은 위로가 됩니다. 건물은 도시의 나무이므로 도시에는 거리의 상징성에 걸맞은 “되바라지지 않는 건물”로 숲을 이뤄야 한답니다.

      이 땅 풍수의 원조 도선 국사가 찾아낸 땅들은 발복할 수 있는 좋은 땅이 아니라 모두 병든 땅이었다지요? 땅은 어머니이니, 병든 어머니를 보살피는 심정으로 터를 고르고 집을 지었다는 겁니다. 여기저기 도선국사가 잡았다는 터들을 보는데, 두려움 없이 세상을 살고 사랑으로 세상을 품었던 보살의 섬세하고도 따뜻한 손길이니까 천년의 세월을 건너온 것입니다. 그런 마음으로 터를 닦고 살 수 있다면 명당 아닌 곳이 있겠습니까?





    • ▲이주향 수원대교수·철학


    • “기차길 옆 오막살이 아기아기 잘도 잔다. 기차길 옆이라는 주택입지는 최악의 가까운 조건이다. 그러나 아기는 평안히 잠자고 있다. 아기의 명당이다.”

      무릎을 쳤습니다. 생을 긍정하는 아기의 에너지가 명당 아닌 터를 명당으로 바꿔준 거지요. 그러고 보니까 지금 내 집이 명당일까, 아닐까 따져보는 일이 무의미한 일이겠구나, 싶습니다. 어차피 나와 인연이 된 집이라면 내가 여기 살아야 할 이유가 있겠지요? 그러니 내 집, 내 공간을 좋아해서, 쓸어주고, 닦아주고, 정리해줘야겠어요. 내 집, 내 공간을 좋아하지 않으면 집도 나를 좋아하지 않을 테니까요.


  •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최윤배 2007.04.15 21:21
      사람마다 보는 방향이 다르겠지만 철학과 교수라서 그런지 일반인이랑 글쓰는 자체가 다른 것 같네요...ㅋㅋ 핵심만 뽑아내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8 공지 인생수업,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1 임석희 2008.01.10 2767
    977 공지 [40] 제프리 크레임스, '7인의 베스트 CEO' 1 이동훤 2008.04.06 2761
    976 공지 기획천재가 된 홍대리(051225) 최병관 2005.12.25 2761
    975 공지 <선학동 나그네>를 읽고 최선희 2009.03.30 2759
    974 공지 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꿔라 ( 반기문 지음) 최윤배 2007.03.06 2746
    973 공지 "놀라운 가설"을 읽고 3 엄준호 2006.11.22 2745
    972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 -로돌포 R. 이나스(김미선)- (북센스) 2 이재우 2007.06.06 2740
    971 공지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3 윤성중 2007.10.22 2739
    970 공지 왜 공공미술인가 윤성중 2007.10.02 2733
    969 공지 사이먼 싱의 빅뱅-2008-03 1 조동환 2008.01.15 2730
    968 공지 ‘에델만’이라는 산을 오르며... 5 엄준호 2007.04.27 2727
    967 공지 나무야 나무야 김미순 2008.01.11 2721
    966 공지 [29] 스티븐 샘플, '괴짜들의 리더십' 이동훤 2007.05.30 2720
    965 공지 10대들의 뇌에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 바버라 스트로치 4 양경화 2007.04.15 2719
    964 공지 의식의 기원-줄리언 제인스 2 임성혁 2008.03.18 2716
    963 공지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1 이상희 2006.02.03 2716
    962 공지 피터 드러커 마지막 통찰-2008-05 조동환 2008.01.31 2714
    961 공지 잊혀진 고토 만주의 역사 이병록 2006.12.10 2712
    960 공지 인생수업 (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지음) 최윤배 2007.03.06 2711
    959 공지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이재우 2007.12.08 27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