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공지
2004.02.08 09:00

"몽 실 언 니"

조회 수 19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몽실언니는 해방직후 소위 '만주거지'라 불리우던 사람들 중 한명이었다.

몽실의 동생 종호는 이름모를 병으로 죽었다. 그리고 그의 어머니는 가난과 배고픔에 이기지 못한채 몽실을 데리고 새아버지에게 도망가 새시집을 갔다. 그 곳에서 몽실은 영득이라는 새 동생도 얻게 된다.

즐거운 일도 있었겠지만 할머니께 구박을 들어가며 새아버지의 손에 밀려 절름발이가 되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다고 한다. 결국은 자신의 아버지 정씨가 돌아온 소식을 듣게되고 고모와 다시 자신의 옛집으로 가게 된다.

그리고 이번에는 새 어머니, 북촌댁을 얻게된다.

그로서 몽실에게는 두명의 아버지와 두명의 어머니가 생기게 된것이라 할수 있다.그리고 전쟁 중에 동생 '난남이'를 얻게 되고 미리부터 몸이 약했던 북촌댁은 죽고 만다.

친어머니에게로 가보기도 하고 몸은 허약하지만 몽실은 그렇게 난남이를 키우고 자신도 커나간다.아버지가 언젠가 돌아오실거란 믿음을 가지고 한 집의 식모살이를 하게 되는 몽실.착한 주인집 식구들과 즐거운 세월을 보낸다.그리고 자신의 아버지가 돌아오지만 전쟁때문에 이미 몸이 많이 다쳐버린 몽실의 아버지.그런 아버지의 아픔을 치료하기 위해 무료봉사를 해준다는 곳으로 난남을 장골할머니께 맡기고 떠나지만 길게 늘어진 줄, 그 줄이 줄어들때 즈음 아버지는 잠시를 견디지 못하시고 돌아가시고 만다.

그리고 또한 자신의 혈육인 친어머니마저도 돌아가시고 만다.

이젠 4명의 부모님 중 3분이나 돌아가신 몽실.... 하지만 몽실언니는 끝까지 꿋꿋이 난남을 키워낸다.

나는 몽실언니를 몇번이나 반복해 읽어보았다.처음에는 솔직히 별 감정이입이 없었지만 가면 갈수록 불쌍함으로, 그 불쌍함에서 안타까움, 그 안타까움에서 존경심으로, 그 존경심에서 따뜻함으로 가게 되었다.실존 인물이 아니더라도 많은 고통과 시련 그 속에서도 절대 희망을 잃지 않을 수있는그 용기, 내 마음에 와닿은 것만 같았다.

점점 더 책의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동생에 대한 깊은 애정과 아버지를 향한효심 그리고 미움.배다른 동생까지도 지극히 아끼며 보살핀 몽실언니의 그 아름다운마음.

절박하고 긴박할 그 상황에서도 동생들을 생ㄱ가한 그 아름다운 마음.그 따뜻한 마음.그 깊은 마음..................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절실히 느낀것은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것.

그 동안 동생을 많이 구박도 하고 많이 싸우기도 했지만 언제나 동생이 울거나 안좋은 일이 있을때면 역시나 연민보다는 피가 솟구쳐오르는게 느껴졌었다.

언제나 동생이 슬퍼하면 나도 슬퍼하는 ..... 그게 바로 형재애인것같다.

밉다고 밉다고 그렇게 이야기는 하지만 사실 마음은 너무나도 따뜻한 마음..

그게 바로 형제애가 아닐까 싶다. 몽실언니를 읽으면서는,

그동안 새삼잊었던 부모,자식간의 정과 형재간의 우애를 느낄 수 있었던 좋은계기인 것만 같아 고맙다.

참 많은 것을 알게 해주었고 느낄 수 있게 한책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 공지 [57] 착한인생 당신에게 배웁니다 (박경철 지음) 1 서윤경 2008.11.11 3275
17 공지 개밥바라기 별 박경희 2008.11.13 3648
16 공지 자기암시(에밀쿠에) 채나연 2008.11.17 3480
15 공지 '믿음의 엔진'을 읽고 임성혁 2008.11.19 3344
14 공지 인간의 자유의지와 이기적 유전자 2 진경환 2008.11.23 4680
13 공지 [58]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안철수 지음) 서윤경 2008.11.25 3198
12 공지 '같기도하고 아니같기도 하고' 중 '환원주의와의 싸움' 3 고원용 2008.12.01 6549
11 공지 '지구의 삶과 죽음', '공생자 행성', '기후의 반란' 1 고원용 2008.12.06 3388
10 공지 뇌,생각의 출현과 나 5 이윤정 2008.12.12 3449
9 공지 [43] 렁청진, '변경' 2 이동훤 2008.12.15 2785
8 공지 [59] 자오선 여행 (쳇 레이모) 3 서윤경 2008.12.21 3677
7 공지 [44] 피에르 레비, '지식의 나무' 1 이동훤 2008.12.23 3300
6 공지 나스타샤를 읽고 3 최선희 2009.01.05 4445
5 공지 포커스 리딩 김주희 2009.01.25 3145
4 공지 이기적 유전자 - 밈에 대한 짧은 생각 신동찬 2009.02.28 3296
3 공지 <못 말리는 헬리콥터 엄마>를 읽고 안태균 2009.03.28 2602
2 공지 <경주의 탄생>을 읽고 최선희 2009.03.30 2546
1 공지 <선학동 나그네>를 읽고 최선희 2009.03.30 27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