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7.04.08 22:58

우주, 시공간과 물질

조회 수 5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03
저자 김항배
출판사 컬처룩
발표자 김항배(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일자 2017-04-28
장소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빌딩 지하 <전성기캠퍼스>
시간 오후 7시30분

김항배.jpg

?

저자 (강연자) : 김 항 배

저자 김 항 배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마드리드 자치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랭커스터 대학교, 로잔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있다. 입자물리학 현상론, 우주론, 암흑 물질, 우주선 등의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입자천체물리학과 우주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한국물리학회, 아태이론물리센터 등이 주최하는 대중 강연도 하고 있다.

?

책소 개

...‘우주론은 현대 과학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물리학의 거의 모든 분야가 우주론에 관여한다. 이 책 <우주, 시공간과 물질>은 바로 그런 관점에서 출발하고 있다. 현대 물리학은 입자물리학, 양자 역학, 상대성 이론이라는 세 개의 큰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 기둥을 제대로 이해할 때 우주론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장 작은 세계, 즉 물질의 최소 단위인 원자와 그 원자 안의 세계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물리학(입자물리, 양자 역학)과 가장 큰 세계, 즉 우주라는 거대한 공간이 어떤 원리에 따라 작동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물리학(상대성 이론)을 결합할 때 우주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된다. 가령 ‘빅뱅’ 이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공간과 시간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그 와중에 물질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려면 이 세 학문을 결합시켜야만 제대로 된 접근을 할 수 있다.

?

그래서 이 책은 우주론에 관한 ‘표준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과학사의 일화나 단편적인 재미를 쫓기보다는 우주의 ‘속살’을 보여 준다는 입장에서 서술되었다. 그러다 보니 일반 교양 과학서와는 차별화된 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특히 물리학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수학을 담고 있다. 수학은 과학의 기본 언어인데, 수학을 배제하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내용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평소 교양 과학서의 깊이에 갈증을 느낀 독자들에게는 갈증을 해소시킬 수 있는 단물이 될 것이다. 혹여 수학적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전체를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 수식을 따라가면서 ‘느끼는 것’만으로도 우주에 대한 이해의 폭이 훨씬 달라질 것이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

목 차

1장 하늘의 이해

2장 우주의 크기

3장 시공간과 상대성

4장 원자와 양자 역학

5장 소립자와 표준 모형

6장 팽창하는 우주

7장 우주의 시작과 끝

?

입장비: 만원(학생:오천원)^^

?

강연 장소 확인하세요!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1호선 종각역 그랑서울?출구)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1호선 종각역 그랑서울 출구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1 자연과학 생명의화학, 삶의화학 6 file 박용태 2009.04.29 8615 7 김희준 자유아카데미 김희준 교수 2009-05-29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오후 7시
10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1 file 홍경화 2016.12.28 670 100 김홍표 궁리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7-01-20 한국인성개발원(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고영빌딩 7층) 저녁7시30분
9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90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8 자연과학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file 홍경화 2018.09.07 2189 118 김홍표 위즈덤하우스 김홍표 2018-09-28 한국인성개발원(고영빌딩 7층. 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나오자 마자 왼쪽에 보임) 저녁 7시 30분
» 자연과학 우주, 시공간과 물질 file 홍경화 2017.04.08 536 103 김항배 컬처룩 김항배(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2017-04-28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빌딩 지하 <전성기캠퍼스> 오후 7시30분
6 자연과학 과학하고 앉아있네-김상욱의 양자역학 콕 찔러보기 2 file 홍경화 2015.08.29 1980 85 김상욱, 원종우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5-09-11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5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5 file 홍경화 2016.07.03 1612 94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교수 2016-07-22 템플스테이3층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출구) 저녁7시30분
4 자연과학 김상욱의 양자공부 file 홍경화 2018.02.02 1802 112 김상욱 사이언스북스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2018-02-23 전성기캠퍼스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라이나생명 본사 건물 지하1층) 저녁 7시30분
3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홍경화 2015.11.30 1674 88 김범준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2015-12-11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30분
2 자연과학 뇌와 마음의 오랜 진화 file 한정규 2015.04.02 1985 80 Gerhard Roth 시그마프레스 한정규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2015-04-24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 안국역6번 혹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30분
1 자연과학 수학은 어디서 왔나 (Where Mathematics Comes From) 1 file 관리자 2011.08.03 9165 35 George Lakoff Basic Books 김대식 교수 2011-08-26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저녁 7시 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