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1.08.02 02:56

생명이란 무엇인가

조회 수 575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19
저자 에르빈 슈뢰딩거
출판사 궁리
발표자 엄준호 박사
일자 2011-08-09
장소 유성도서관
시간 저녁 7시

http://www.yes24.com/24/goods/2638694?scode=032&OzSrank=1
<<책소개>>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과학 고전, 「생명이란 무엇인가」와 생명현상을 철학의 영역까지 확대한, 「정신과 물질」그리고 바람둥이로 소문난 슈뢰딩거가 세상을 뜨기 두 달 전 직접 작성한, 「내 삶의 스케치」까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에르빈 슈뢰딩거의 '생명에 관한 통찰'을 한 자리에 모았다.

총 일곱 장으로 구성된 「생명이란 무엇인가」에서 저자는 생명의 신비를 풀고자 하는 과학자가 맞닥뜨릴 수 있는 중요한 개념적 논제들을 통계물리학과 양자물리학을 사용해 명확하고 간결하게 제시한다. ‘유전자는 왜 변하지 않는가’,‘생명체는 어떻게 그 자체가 붕괴되려는 경향에 맞서는가’등 과학적이면서도 철학적인 물음을 제시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보여준다. 그리고 「정신과 물질」에서는 의식의 물리적 기초, 지식의 미래, 객관화의 원리, 과학과 종교, 감각의 신비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생명현상 및 정신과 물질의 관계에 대한 슈뢰딩거의 탁월한 식견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 에르빈 슈뢰딩거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1887년 빈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고 빈, 예나, 취리히, 베를린 등지에서 교수로 있었다. 물질파(物質波) 개념을 기초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발견하여 파동역학을 수립하는 등, 물질의 파동이론과 양자역학의 한 축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으며, 1961년 작고하였다. 저서로는 『자연과 그리스인(Nature and the Greeks)』, 『나의 세계관(Meine weltansicht)』 등 다수가 있다. 
 

  • ?
    관리자 2011.08.02 02:56
    공지글에 오류가 생겨 재게시 하는 과정에서 기존 리플 두 개가 사라졌습니다.
    이병록 운영위원님, 김형태 회원님 죄송합니다.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이병록 2011.08.02 02:56
    인천과 대전의 주제가 같다는 내용이었을 것입니다.
  • profile
    김형태 2011.08.02 02:56
    인천백북스 김형태 입니다. 괜찮습니다. ^^

    인천과 대전 모임에 모두 참석하고 싶다는 소망이었습니다.

    이 책의 부제가, 물리학자의 관점에서 본 생명현상인데, 물리학과 생물학을 전공하신 두 분의 박사님의 인천과 대전을 잇는 연이은 이 번 강연이, 우연이 아닌 인연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두 번의 강연에 모두 참석할 수 있다면, 개인적으로 잊지못할 8월이 될 듯 합니다. ^^
  • ?
    김진형 2011.08.02 02:56
    이제독님 오랜만 입니다. 서울로 올라가셨다는 얘기 들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5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14 43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8] 시간과 물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8.25 252 안드리 스나이르 마그나손 북하우스 책밤지기 : 윤고은 작가 2021-09-14 이도저도 오후 7:15
13 43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file 조수윤 2021.09.24 256 사라 시거 세종서적 책밤지기 : 이정원(백북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09-28 이도저도 오후 7:15
12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87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11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299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10 44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8]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file 조수윤 2022.02.08 216 데이비드 콰먼 꿈꿀자유 책밤지기 : 박대기 기자 2022-02-08 이도저도 오후 7:15
9 44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5] 리얼리티 버블 file 조수윤 2022.05.18 290 지야 통 코쿤북스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2022-05-24 이도저도 오후 7:15
8 44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6] 우아한 우주 file 조수윤 2022.05.30 315 엘라 프랜시스 샌더스 프시케의숲 책밤지기 : 궤도(안될과학 과학 커뮤니케이터) 2022-06-14 이도저도 오후 7:15
7 450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7] 천개의 뇌 file 조수윤 2022.06.20 276 제프 호킨스 이데아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2022-06-28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6 45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6] 해부학자 file 조수윤 2022.10.26 249 빌 헤이스 알마 책밤지기 : 이지유 작가 2022-11-08 이도저도 오후 7:15
5 46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9] 생명이란 무엇인가 file 조수윤 2022.12.16 280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리수 책밤지기 : 하리하라 이은희 작가 2022-12-27 이도저도 오후 7:15
4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44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 391 자연과학 떨림과 울림(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 file 이근완 2019.02.15 465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동아시아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019-02-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6층) 7시 30분
1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3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