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1.08.02 02:56

생명이란 무엇인가

조회 수 5754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19
저자 에르빈 슈뢰딩거
출판사 궁리
발표자 엄준호 박사
일자 2011-08-09
장소 유성도서관
시간 저녁 7시

http://www.yes24.com/24/goods/2638694?scode=032&OzSrank=1
<<책소개>>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과학 고전, 「생명이란 무엇인가」와 생명현상을 철학의 영역까지 확대한, 「정신과 물질」그리고 바람둥이로 소문난 슈뢰딩거가 세상을 뜨기 두 달 전 직접 작성한, 「내 삶의 스케치」까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에르빈 슈뢰딩거의 '생명에 관한 통찰'을 한 자리에 모았다.

총 일곱 장으로 구성된 「생명이란 무엇인가」에서 저자는 생명의 신비를 풀고자 하는 과학자가 맞닥뜨릴 수 있는 중요한 개념적 논제들을 통계물리학과 양자물리학을 사용해 명확하고 간결하게 제시한다. ‘유전자는 왜 변하지 않는가’,‘생명체는 어떻게 그 자체가 붕괴되려는 경향에 맞서는가’등 과학적이면서도 철학적인 물음을 제시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보여준다. 그리고 「정신과 물질」에서는 의식의 물리적 기초, 지식의 미래, 객관화의 원리, 과학과 종교, 감각의 신비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 한 권의 책을 통해 생명현상 및 정신과 물질의 관계에 대한 슈뢰딩거의 탁월한 식견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 에르빈 슈뢰딩거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1887년 빈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고 빈, 예나, 취리히, 베를린 등지에서 교수로 있었다. 물질파(物質波) 개념을 기초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발견하여 파동역학을 수립하는 등, 물질의 파동이론과 양자역학의 한 축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으며, 1961년 작고하였다. 저서로는 『자연과 그리스인(Nature and the Greeks)』, 『나의 세계관(Meine weltansicht)』 등 다수가 있다. 
 

  • ?
    관리자 2011.08.02 02:56
    공지글에 오류가 생겨 재게시 하는 과정에서 기존 리플 두 개가 사라졌습니다.
    이병록 운영위원님, 김형태 회원님 죄송합니다.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이병록 2011.08.02 02:56
    인천과 대전의 주제가 같다는 내용이었을 것입니다.
  • profile
    김형태 2011.08.02 02:56
    인천백북스 김형태 입니다. 괜찮습니다. ^^

    인천과 대전 모임에 모두 참석하고 싶다는 소망이었습니다.

    이 책의 부제가, 물리학자의 관점에서 본 생명현상인데, 물리학과 생물학을 전공하신 두 분의 박사님의 인천과 대전을 잇는 연이은 이 번 강연이, 우연이 아닌 인연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두 번의 강연에 모두 참석할 수 있다면, 개인적으로 잊지못할 8월이 될 듯 합니다. ^^
  • ?
    김진형 2011.08.02 02:56
    이제독님 오랜만 입니다. 서울로 올라가셨다는 얘기 들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6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4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5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4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43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2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2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1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0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92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39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60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8 481 자연과학 생명 그 자체의 감각 file 조수윤 2024.06.13 38 크리스토프 코흐 arte(아르테) 박제윤 2024-06-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7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36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4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5 336 자연과학 뉴튼의 프린키피아 file 관리자 2016.08.02 288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박사 2016-08-09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4 337 자연과학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file 이근완 2016.08.11 365 닉 레인, 김정은 역 뿌리와이파리 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2016-08-23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3 100 자연과학 블랙홀이 불쑥불쑥 file 관리자 2006.08.10 4598 박석재 주니어김영사 박석재 원장 2006-08-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3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6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0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2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 113 자연과학 면역의 의미론 file 관리자 2007.02.28 4910 타다 토미오 한울 엄준호 2007-03-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 115 자연과학 우주의 구조 2 file 박문호 2007.03.30 6128 브라이언 그린 승산 박문호 2007-04-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7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69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