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334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천백북스 2009 – 2014  
[인미모 2] 인천백북스 강독모임 :  묵자 읽기 1회  ( 2014.06.01.  인천 )
     다음달 묵자 읽기 2회 강독모임은 7월 6일(일) 진행합니다. 



안녕하세요.
인천백북스(강독) 묵자 읽기 강독 첫모임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공부모임 장소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복사기 사용 등의 편의를 제공해 주신, 한국근대문학관의 선생님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묵자 읽기 첫모임에서는 선정도서인, 임건순 선생님의 <묵자>의 목차와 다른 책들과의 목차를 비교해 보고, 묵자(묵적)과 묵가를 가리키는 키워드 중심으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묵자>(임건순) 제3장 - 묵자, 그는 누구인가 텍스트를 강독하였습니다.

묵자와 묵가의 "묵"의 의미와 수수께끼에 대해, 그리고 묵자는 공자와 더불어 노나라, 동방의 사상가 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공부하였습니다.

7월 6일(일) 다음 묵자 읽기 2회 모임에서는, 후자오량의 <중국의 문화지리를 읽는다>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준비하겠습니다.
그리고 텍스트 <묵자>(임건순) 제2장 - 묵자 사상의 중심, 겸애 / '이익'을 어떻게 볼 것인가 부분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논어>의 자로에 대해서도 생각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묵자의 사상겸애 사상에 대해 ( 모든 인류에 대한 보편적인 사랑 )
 – 공동체 ( 열린듯닫힌 공동체 ) : 울타리 없는 공동체는 가능한가
 보편적 인간 사랑과 국가에 대한 사랑(애국)은 양립할 수 있는가


  • ?
    김현주 2014.06.02 10:13
    회원분들..오랜만에 뵈어 반갑습니다..
    넓고 쾌적한 공간을 마련하신 총무님..고맙습니다..
    여느 제자백가와 달리 조금은 낯선 묵가와의 만남이 요즘이어야하는 이유를
    발견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좀더 묵가에 다가가는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 profile
    김형태 2014.06.02 10:13
    김현주 회원님 / 반갑고 고맙습니다. 저에게도 귀한 배움의 시간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오랜만에 책읽기의 즐거움을 다시 느끼게되어 고마운 마음입니다.
    정성스런 간식과 커피를 준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 현장스케치 제25차 퀀텀 브레인 사진과 회계 내역 7 김미선 2011.03.09 1990
26 현장스케치 제24차 내 안의 유인원 사진과 회계 내역 1 김미선 2011.02.10 1804
25 현장스케치 인천백북스 24차 내안의 유인원 토론 후기 14 김양겸 2011.02.10 1884
24 현장스케치 인천백북스 24차 내안의 유인원 발표자료 및 토론 후기 2 file 손호선 2011.02.10 1964
23 현장스케치 23차 공감의 시대 사진과 회계내역 6 김미선 2011.01.16 1810
22 현장스케치 운영진 프로필 12 김미선 2011.01.02 2292
21 현장스케치 21차 모임 사진과 회계 내역(11월 9일) 1 김미선 2010.11.11 1898
20 현장스케치 20차 생체모방 후기 8 file 김미선 2010.10.14 2420
19 현장스케치 박용태 피디님과 3 김주현 2010.10.05 2006
18 현장스케치 19차 박문호 박사의 창의성 강연 정리 9 file 김양겸 2010.09.13 2578
17 현장스케치 19차 박문호 박사의 창의성 강연 후기 6 file 김미선 2010.09.11 2356
16 현장스케치 18차 모임 사진과 회계 내역(8월 10일) 8 김미선 2010.08.13 1943
15 현장스케치 17차 모임 사진과 회계 내역(7월 6일) 7 김미선 2010.07.08 3756
14 현장스케치 16차 「뇌과학과 철학」정리 3 file 김양겸 2010.06.24 2390
13 현장스케치 15차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 모임 후기 7 file 김미선 2010.05.05 3025
12 현장스케치 14차 조상이야기 후기와 회계 내역(4월 6일) 3 김미선 2010.04.07 2243
11 현장스케치 제13차 인천백북스 '미래학'스케치 3 김주현 2010.03.08 2426
10 현장스케치 제12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 결과 보고 3 file 안희찬 2010.02.03 2448
9 현장스케치 제11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 결과 보고 4 file 안희찬 2010.01.06 2749
8 현장스케치 제10차 인천백북스 모임 결과 보고 4 file 안희찬 2009.12.09 23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