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22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까치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인데,
실험적으로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까치의 학명은 Pica pica 이고,
우리나라 까치는 Pica (pica) sericea입니다.

속명인 Pica는 라틴어로 까치를 가리키며, 종명인 sericea는 "비단같은 (silky)"입니다.
참고로, 속명은 명사이고, 종명은 형용사입니다. 라틴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 뒤에 옵니다.(후치수식)

Pica (pica) sericea을 굳이 우리말로 번역한다면, "비단까치" 정도 되겠습니다.

Pica (from the Latin for "magpie").
The species name (sericea) is the Latin for "silky"




아래 그림을 보면, 일본에는 까치가 없네요.
이유가 무엇일까요?
일본에서는 까치가 천연기념물이랍니다.
(한국까치 일본 상륙 500년 http://www.freecolum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7)




(기사)

'까치가 사람을 분별한다'
http://media.daum.net/digital/science/view.html?cateid=1050&newsid=20110525171344165&p=mk&RIGHT_COMM=R8

(영문 기사)
1.
Black-billed Magpies can recognize humans
Updated on Saturday, May 14, 2011, 19:25
(내용은 구굴로 검색하세요)

2.
Magpies Not Only Recognize Humans, But Scold Them Too!
http://www.asianscientist.com/in-the-lab/magpies-recognize-humans-scold-too/


(참고자료)
http://ko.wikipedia.org/wiki/까치
http://en.wikipedia.org/wiki/Pica_(genus)
http://en.wikipedia.org/wiki/European_Magpie
http://en.wikipedia.org/wiki/Korean_Magpie

(저자 중의 한사람인 표트르 야브원스키(Piotr Jablonski·48) 관련)

http://ce.snu.ac.kr/bkFree_board1/searchread.php3?readnum=59&page=6&pagecount=0&search=&searchsel=&returnpage=6&returnpagecount=0&maxno=251&lowno=1
http://www.kyomin.org/bbs/view.php?id=koreanews&page=9&sn1=&divpage=1&category=3&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353&PHPSESSID=49ce4147756c500645ab01a282fad4b4
http://www.snu.ac.kr/withsnu/with0205_list1.jsp?idx=183&reqPage=9&search_flag=&search_item=&_startDate=2010-11-28&_endDate=2010-11-28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 자료 <뉴스> 사람과 초파리 `자유의지'는 같다 file 변정구 2011.03.03 1579
54 자료 제29차 인천백북스 안내 포스터 3 변정구 2011.06.24 1700
53 자료 제58차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붓다의 생애) ppt 자료 2 file 안희찬 2014.02.17 1753
52 자료 [중년의뇌] hara hachi bu 腹八分 변정구 2011.04.03 1787
51 자료 [퀀텀 브레인] 발표자료 5 김양겸 2011.03.07 1796
50 자료 [퀀텀브레인] 참고자료 - 뉴런의 역사 file 변정구 2011.02.25 1799
49 자료 <현대과학철학 논쟁>과 함께 읽고 있는 책입니다. 김형태 2013.10.07 1803
48 자료 [퀀텀 브레인] 발표자료(수정) 3 김양겸 2011.03.08 1809
47 자료 20차 인천백북스 - 생체모방 정리 5 file 김양겸 2010.11.13 1840
46 자료 <링크> 관련 영상을 링크합니다 4 김제원 2012.10.09 1845
45 자료 [인천해석 참고도서] 나는 누구인가 7 김형태 2013.01.17 2001
44 자료 제51차 발제 자료(칭기즈 칸과 쿠빌라이 칸) 5 file 유연성 2013.05.26 2018
43 자료 [퀀텀브레인] 그림 7-7.....애니메이션 gif 3 변정구 2011.03.08 2022
42 자료 노벨상 (자연과학 부문) 아시아 수상 집계 (2012) 2 김형태 2012.10.27 2102
41 자료 제42차 인천백북스 발표 자료 5 file 유연성 2012.08.19 2127
40 자료 안의 의학 밖의 의학 ( 면역의 의미론 ) 5 file 김형태 2012.09.24 2176
39 자료 [과학 뉴스] 인류의 편가르기, 오랜 진화적 뿌리 file 변정구 2011.03.21 2233
38 자료 [발표자료] 조상이야기 - 영장류의 유산 7 file 손호선 2010.04.07 2239
37 자료 [과학뉴스 바로읽기] 인류 성공 비결은 언어와 던지기 file 변정구 2011.01.25 2250
36 자료 [발표자료] 조상이야기 2편 10 file 손호선 2010.07.08 22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