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일반
2009.01.21 02:44

<인문사회 공부모임 2회 후기>

조회 수 212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학로 일석기념관 2층에 있는 ‘책읽는 사회만들기 국민운동본부’ 넓은 사무실에서 2번째 책을 공부했습니다. 일석은 국어학자였던 이희승씨의 호라고 하네요. 온풍기도 짱짱하고 의자도 넘 푹신....모인 사람이 모두 15명이었나요...^^




읽은 책은 ‘뚜웨이밍의 유학 강의’, 하늘과 인간 그리고 휴머니즘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습니다. 뚜웨이밍은 하버드대에서 중국 철학과 역사를 가르치고 있는 학자. 첫 장 ‘어른이 되는 과정’을 참석한 사람들이 한 페이지씩 읽고 각자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동네 방네 개똥철학’ 푸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뚜웨이밍은 ‘유학이 강조하는 것은 삶의 과정 그 자체에 있다. 자아 수양이 없는 생물학적 성장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라고 말합니다. 즉 ‘길을 추구하는 선비’가 유학의 이상적인 인간상인 셈이죠.


증자는 어깨에 무거운 짐을 지고 끝없는 여행을 하는 모습으로써 사람이 되는 과정을 묘사합니다.



  “선비는 짐이 무겁고 갈 길은 멀기 때문에 굳세고 단호해야 한다. 인간성을 자기의 짐으로 여기는데, 어찌 무겁지 않겠는가? 죽은 뒤에나 갈 길이 끝나는데, 어찌 멀지 않겠는가”



 즉 유학은 成人(성인) 이 되는 과정을 생물학적 성장과는 다른 꾸준한 수양의 길로 보았습니다.

이렇게 평생 동안 길(道)을 가다 보면 聖人(성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자기 실현의 길은 다양합니다. 결국 유학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聖人(성인)이 되는 길은 성인의 숫자만큼이나 많은 것이죠.



어떻게 보면 우리 시대의 정치인과 기업가들이 자기 수양을 하지 않고 있고, 사회에서도 자기 수양을 중요시하지 않기 때문에 막 돼 먹은 사람이 높은 자리에 올라 국민이 고통을 받거나 오로지 자기 자식에게 기업 물려주기에 혈안이 되는 일이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을 논의하면서 든 생각은 먼저 제가 우리 선조들의 삶을 규정한 유학에 대해 너무 모른다는 것입니다. 저는 논의와 대학, 중용 등 사서 삼경 중에 통독한 책이 아직 하나도 없습니다.

 

그리고 유학이 조선시대 통치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로 되면서 원시유학이나 원래 유학이 지녔던 긍정적인 힘과 내용 조차 통치 이데올로기와 섞여 옥석을 가릴 수 없게 된 점이 있고요.



하나씩 강독하면서 논어와 중용 전문을 한 번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모임이 끝나고 바로 밑에 있는 한식집에서 된장찌개와 청국장을 먹었고요. 그 자리에 저번 수학모임을 하신 분 수십 명이 식당을 점령하고 식사를 했답니다. (이 장면에서 수학모임을 능가하고 싶은 찰나적 열정이 생길락 말라 하다가 ....^^)



처음 오신 분(실명 생략^^, 감사는 노 생략^^)께서 커피를 쏘신다고 해서 마로니에 공원 앞에 있는 ‘모짜르트’라는 우아한 카페에서 모두 오순도순 이야기를 하다 헤어졌습니다.(이 점은 수학모임을 능가한 듯...^^) 토요일 미술관 순회를 하자는

기쁜 이야기도 나왔고요...



다음 모임에는 (2월 21일 토 오후)에는 브루노 스넬의 <정신의 발견>을 합니다. 일단 듣도 보도 못한 책을 읽어본다는 점에서 자부심을 가집니다. 아,,, 물론 내용을  안다는 자부심은 멀었습니다...



   

Who's 정광모

?
그리샴
  • ?
    이병록 2009.01.21 02:44
    경쟁적으로 발전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 ?
    이지홍 2009.01.21 02:44
    까페에서 음료를 주문할 때,
    거의 모든 사람이 다 다른 음료를 주문하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음료 종류 / 온도 / 휘핑크림의 유무.. )
  • ?
    강혜정 2009.01.21 02:44
    번개 모임 코스를 고민 중입니다..^^ 오늘 뵈서 반가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 일반 10.31일 모임은 박문호 박사님 출판기념 행사와 같이 합니다. 5 이병록 2008.10.26 2444
184 일반 10월 모임 후기 5 이병록 2008.09.29 2562
183 일반 10월6일 서울모임 후기 보충 + 수학모임 이야기 13 이종필 2008.10.08 2733
182 일반 12월 17일 모임 후기 2 김영철 2007.12.20 3526
181 일반 1월 책날개 강혜정 2009.03.27 2541
180 일반 20081219 서울백북스 출석 및 회계 보고 9 강혜정 2008.12.20 2040
179 일반 20090130 서울백북스 출석 및 회계 보고 5 강혜정 2009.01.31 2053
178 일반 20090130 서울정기강연 모임 후기 5 강혜정 2009.01.31 2122
177 일반 20090221 제 3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1 강혜정 2009.01.31 2049
176 일반 20090321 제 4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2 강혜정 2009.03.05 2359
175 일반 2009년 2월27일 서울정기강연과 관련된 영상^^ 2 한정규 2009.02.28 2408
174 일반 2009년 서울 모임은 이렇게 진행합니다. 8 김홍섭 2008.12.03 2325
173 일반 24일 점심 번개 1 이병록 2008.10.24 2258
172 일반 28일 모임 후기 3 이병록 2008.01.29 3189
171 일반 2월 21일(토) 3시 30분 인문고전모임 참석 댓글을 달아주세요 1 강혜정 2009.02.14 2008
170 일반 2월27일 서울정기강연회회계보고 1 김영이 2009.03.02 2364
169 일반 3월 모임의 주제는? 2 이병록 2008.02.19 3103
168 일반 4.26일 모임과 주제 3 이병록 2008.04.07 2565
167 일반 4월 25일(금), 서울모임이 새롭게 태어납니다! 2 문경수 2008.04.22 2521
166 일반 4월 모임 후기 3 정현경 2008.04.28 24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