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북스정기모임

조회 수 2226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 ?
    임석희 2012.04.12 21:11
    박경철 원장님 말씀 한마디 한 마디가 가슴에 팍! 꽂혔더랬습니다.
    말씀처럼 "선한 영향력" 실천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많은 회원들이 자정이 넘도록 그 말씀들을 곱씹느라, 새벽 1시가 되어야 집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귀가해서 인터넷을 보니,여전히 잠못드는 청춘들이 여럿 있었죠 ^^)

    오랜만에 참석하신 회원님들 만나서 반가왔구요.
    멀리서 오신 회원님들, 특히 제독님.
    이 자리를 만들어주신 박성일 운영위원장님,
    그리고 섭외해 주신 강교수님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사진 촬영해 준 조수윤 회원, 기억과 감동이 다시금 새록새록, 고마와요.
    예의 맛있는 간식과 음료로 언제나 저흴 챙겨주시는 한정인 선생님께도 감사드려요.
  • ?
    정남수 2012.04.12 21:11
    열광의 도가니, 감동의 쓰나미~
    사진기록을 보면 생생하게 다시 살아나요~ㅎㅎ

    수윤언니 늘 욕보십니다요~헤헤헤
  • ?
    박정수 2012.04.12 21:11
    제 사정상 늦게 도착하여 강연 후반 1/3정도만, 그것도 자리가 없어서 굽 높은 힐을 신고 서서, 주옥같은 강연을 다 들을 수 없어서 아쉬웠던 4월 백북스 강연은

    설악산 전망 좋은 곳의 하려한 단풍이나 사람의 시선조차 닿지 않는 어느 길가에서 떨어지는 갈잎이나 그 본질을 들여다보면 ‘낙엽’이기는 마찬가지임에도 우리는 본질을 제대로 보려고 하기보다는 깊은 성찰 없이 화려함을 쫓느라 전 인생을 낭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는,(강연에서 구사된 정확한 표현인지는 기억이 잘 나지 않으나 제가 이해한 것으로 표현합니다)

    우리는, 사람은 영향력의 크기나 넓이를 확장하고자 갈망하나 그 크기나 넓이보다는 얼마나 ‘선한 영향력’인가가 더 중요하다,는 낮으나 진지한 강연자의 목소리가 오래도록 내 안에서 파문을 일으키며 때로는 따뜻한 내용으로 눈시울이 젖었고 때로는 자기 각성과 스스로의 내부 자극에 서릿발이 가슴에 꽂히는 듯 서늘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사인을 받기위해 길게 줄지은 행렬들이 사라지기를 기다리는 동안 ‘유명인’의 강연을 듣고 단 한 마디도 이야기를 나누지 않고 ‘그냥’ 보내서는 안되겠다는 강박(적극적으로 인터뷰하는 극성 기자를 상상하며)과 갈 길이 먼 강연자의 시간을, 수백 수천의 대중속의 한 사람일 뿐인 내가 유명인의 귀한 시간을 단1초라도 허비해서는 안될 것 같다는, 그보다도, 근사하고 접근성있는 ‘주제 혹은 질문, 이야기 감’을 준비하지 않았기에 나는 망설이고 또 망설이다 강연자를 환송하는 위원장옆을 종종걸음으로 쫓아가 “라디오 방송 매일 1시간씩 출근하며 들었구요....”, “~~ 예!” 난 또 다시 “뭐라구 뭐라구...”, “~~ 예!”....
    그저 “~~ 예!”라고만 하면서 말을 아끼는, 그 침묵의 카리스마에 나는 새하얗게 증발해버리는 기분!

    집에 돌아와서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을 들춰보니 전에 읽을 때 밑줄을 그어 놓았던, ‘침묵은 온갖 충동과 감정, 유혹에 흔들리는 나를 관찰하고 경고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다. 침묵한다는 것은 단순히 말을 하지 않는 것 이상이며 관성에 의한 모든 행위를 멈춘다는 의미다. 타인과 외부에 대해 침묵한다는 것은 또 다른 형태의 열정이다’라는 구절이 눈에 들어오며 나는 다시 한 번 내 자신이 새까맣게 타들어가는 기분이었다.

    ‘나만의 철학, 온전한 나만의 생각과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강연자의 강연 후반의 목소리가 북유럽과 아시아 남미를 돌아본 후 익을대로 농익은 숙성된 빛깔의 그, 온전한 자연 빛깔의 그로 변해 있을 모습과 클로즈업되면서 그날을 고대한다.
  • ?
    임석희 2012.04.12 21:11
    '침묵은 또 다른 형태의 열정이다.'
    정말 힘든 일이죠. 침묵하기도, 참기도, 유지하기도...

    이 침묵으로 타들어 가는게 힘들어서
    사실, 전 아직 이 말엔 동의가 잘 안 되어요.
    담에 뵙게 되면, 부연 설명 해 주세요, 정수쌤~
    아직 저는 철이 덜 들었나봅니다.

    좋은 후기 잘 읽었습니다~

  1.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이덕일 (179회)

  2. 진화경제학-주명진(180회)

  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안인희 (183회)

  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박문호 (184회)

  5. 아이투아이 - 권선필 (185차)

  6. 낙타-신경림 (187차)

  7.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이면우 (188차)

  8. 세븐스타 일곱사장 이야기-김학민 (189차)

  9.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 정상에 서다-조장희 (190차)

  10. 돌아다보면 문득 - 정희성 시인 (191차)

  11. 백북스 200회 정기모임

  12. 223차 정기모임 / 안희정 충남도지사 <담금질>

  13. 창립총회 & 227차 정기모임 / 문경수 <생명 40억년의 비밀>

  14. 232차 정기모임 / 현영석 교수님 <삶의 정도>

  15. 234차 백북스 사진으로 보는 현장스케치 1부 김혜원 꿈꾸는 어른아이

  16. 235차 정기모임 / 시골의사 박경철 <자기혁명>

  17. 239차 정기모임 & 10주년 자축파티

  18. 240차 강연장사진 : 그리스인 조르바 - 변승훈작가님

  19. 244차 현장스케치 : 고산자 - 박범신 작가

  20. 박범신 작가님의 "봄날은 간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